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로포폴22

프로포폴 마취 무호흡 등 부작용과 적정 사용량 프로포폴 적정 사용량과 의사의 의무 프로포폴은 정맥마취제로 치오펜탈과 유사한 작용을 가진 진정 최면제이다. 마취 발현의 임상적 징후가 나타날 때까지 환자의 반응을 관찰해 약의 용량을 결정한다. 프로포폴의 부작용은 저혈압, 호흡억제, 무호흡 등이 있는데 특히 심장, 호흡기계, 신장 또는 간장 손상 환자에게는 신중하게 투여해야 한다. 저혈압은 심혈관 질환의 유무에 관계없이 2~2.5mg/kg의 유도 용량에서 혈압이 20~40% 감소하며, 무호흡은 투여 용량, 투여 속도 및 병용 약제에 따라 정도가 달라진다. 진정은 약제를 이용해 의식의 수준을 억제하는 것이다. 미국 마취과학회는 진정 및 마취의 정도를 환자의 의식 수준에 따라 최소 진정, 중등도 진정, 깊은 진정, 전신 마취 4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이중 전.. 2024. 1. 12.
안전한 수면내시경검사 병원과 의료사고 대응 수면내시경 안전하게 하는 병원 선택 방법 수면내시경검사를 하기 위해 프로포폴을 투여한 뒤 수면 유도가 되지 않거나 무호흡 증상이 발생하거나 갑자기 산소포화도가 떨어지는 등의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산소를 공급하고, 기관 삽관을 하거나 혈압 상승제를 투여하고 심장 마사지를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으며,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이런 상황을 예방하고, 안전하게 수면내시경 검사를 하는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프로포폴 부작용 먼저 프로포폴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프로포폴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마취제로, 진정 후 회복이 빠르고 부작용이 적어 외래 환자 수술, 내시경 검사 등 간단한 시술에서 진정이 필요할 때 많이 투여한다. 그러나 호흡 억제 .. 2023. 11. 11.
제왕절개분만 후 산모 뇌손상 등 의료사고 판단 제왕절개 수술 집도의 주의의무, 의료사고 대응법 제왕절개 수술을 한 산모가 출산 직후 저혈압 증상을 보여 응급 처치했지만 저산소성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 무력감, 우울감 등의 정신장애, 행동장애 판정을 받았다면 분만 과정에서 의료진의 과실이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산부인과 의료진은 제왕절개 분만 과정에서 산모 또는 신생아에게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반드시 주의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진정마취제 프로포폴 사용 주의 프로포폴은 진정과 마취를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속효성 정맥용 마취제다. 프로포폴의 가장 위험한 부작용은 호흡억제이다. 특히 빠른 일시 주사를 하면 심폐 부작용으로 저혈압, 기도폐쇄, 무호흡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제왕절개 분만 후 산모에게 저혈압, 호흡억제 부작용이 발.. 2023. 10. 27.
수면 내시경검사 후 깨어나지 않는다면 수면 내시경검사 의료진의 주의의무 면 내시경검사를 하기 위해 프로포폴을 투여하는 의사는 의학적으로 권고되는 용양과 투여 방법을 준수해 안전하게 투여해야 하며, 내시경검사 과정 및 검사 후 환자의 상태를 면밀하게 살펴 청색증 등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조치를 취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아래 사례는 프로포폴 투여 후 위, 대장 내시경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산소포화도 저하 증상이 나타났고, 검사를 모두 마친 뒤 회복실에서 청색증이 발생해 응급처치를 했지만 심정지가 발생한 사안이다. 수면 내시경검사 후 심정지 발생 사건 A는 피고가 운영하는 I병원에서 위와 대장 내시경검사를 받기 위해 종합검진센터를 내원했다. 당시 환자는 신장 167cm, 체중 89kg, 체질량지수(BMI) 31.9kg/㎡로 비만이었다.. 2023. 6. 14.
진정제‧마취제 투여후 CT, 혈관조영술 과실 뇌동맥류 파열 수술 후 심정지 발생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지주막하출혈 수술을 받은 뒤 진정제와 마취제 투여후 뇌CT와 혈관조영술을 한 뒤 심정지가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피고 병원이 뇌CT, 혈관조영술을 위해 진정제와 마취제를 투여한 후 응급상황에 대비해 활력징후 등을 면밀히 관찰할 의무를 이행했는지, 뇌영상촬영에 앞서 이로 인한 부작용 등을 상세하고 충분하게 설명해야 할 의무를 이행했는지 여부다. 뇌동맥류 파열 수술 후 심정지 사건의 개요 환자는 갑자기 두통이 발생해 피고 병원에 내원해 우측 중대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지주막하출혈 진단을 받고, 같은 날 접형동 접근법을 이용한 뇌동맥류 결찰술과 출혈 제거술을 받았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수술 후 뇌혈관연축을 예방하기 위해.. 2022. 9.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