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PI4 통증유발점 주사치료 후 통증, 발열 등 부작용 TPI 시술 부작용과 의사의 주의의무 힘줄이나 근육 통증을 줄이기 위해 통증유발점 주사치료(TPI)를 받은 뒤 환자가 통증, 발열 증상을 호소한다면 의료진은 어떻게 해야 할까? 이 경우 의료진은 염증, 감염 등으로 인해 통증, 발열이 발생한 것을 의심해 혈액검사 등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할 진료 상 의무가 있다. 또한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체온, 맥박 등의 활력징후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래 사례는 통증유발점 주사치료를 한 뒤 통증, 발열 증상이 지속돼 다른 병원에서 검사한 결과 골수염으로 확인되어 치료를 받은 사안이다. 통증유발점 주사치료 후 통증, 발열 발생 사건 C는 5월 16일 엉덩이(둔부) 통증이 발생해 F 병원에서 통증 부위에 .. 2023. 12. 25. 리도카인 아나필락시스 발생후 응급처치 과실 근막동통유발점 주사 경과 환자는 양쪽 발바닥이 저리고, 시린 증상으로 피고 의원에 내원했다. 의사는 추간판장애로 인한 좌골 신경통, 요추 척추전방전위증(위 척추뼈가 배 쪽으로 밀려나가면서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을 일으키는 질환), 발목과 발 근막통증증후군으로 진단했다. 의사는 국소마취제인 리도카인과 스테로이드제인 트라암시놀론을 혼합해 주사로 요추와 척수 부위에 3~4회 걸쳐 나눠 주입하는 근막동통유발점 주사시술(TPI)을 했다. 시술 후 호흡정지 피고 의사는 주사 시술 후 진료실 침대 위에 엎드린 채 누워있던 환자를 돌아 눕히는 과정에서 환자의 의식이 없고, 호흡이 정지된 상태를 확인했다. 이에 심폐소생술을 하면서 간호사로 하여금 오전 11시 6분 경 119에 신고하도록 했다. 병원에 도착한 119 구급.. 2021. 12. 16. TPI 통증유발점주사 후 기흉 발생 흉통환자 통증유발점주사 후 기흉 발생, 전원도 지연 이번 사건은 교통사고를 당해 흉추 4-5번 골절상을 입은 뒤 통증이 계속되자 병원에서 흉부 부위에 통증유발점주사, 일명 TPI 치료를 받은 뒤 기흉이 발생한 사례입니다. 이에 대해 법원은 의료진의 술기상 과실로 환자에게 기흉이 발생했으며, 의료진이 막연하게 환자의 상태가 위중하지 않다고 판단해 상급병원 전원을 지연한 과실도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교통사고를 당해 흉추(등뼈) 4-5번 골절상을 입었고 통증이 계속되자 3개월 뒤 피고가 운영하는 병원에 내원했는데요. 피고 병원 신경외과 의사는 당일 원고의 좌측 흉부 부위에 통증유발점주사(TPI, Trigger Point Injection) 치료를 했습니다. 이후 원고는 현기증과 호흡곤란 증.. 2021. 1. 6. 통증유발점주사치료 TPI 후 골수염, 대둔근 농양, 혐기성 세균 감염 좌골 점액낭염 골반뼈 중 의자에 앉을 때 닿는 면에 위치한 뼈와 그 부위의 근육 사이에 존재하는 점액낭이라는 관절 윤활주머니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사진: pixabay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사건의 개요 원고는 계단을 오를 때 좌측 둔부 통증이 느껴지자 피고 1병원에서 둔부 X-ray 검사를 받았는데 이상소견이 없었고, 4일 뒤 다시 내원해 좌골 점액낭염 진단을 받았고, 감염 소견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의료진으로부터 통증유발점 주사치료(TPI)를 받고 입원했다. 의료진은 다음날 무릎수술 및 수술 전후 검사를 위해 금식을 하도록 했지만 원고는 추후 컨디션이 좋아지면 받겠다며 수술을 거부했고, 다음날 체온이 37.8도까지 상승하고 경미한 오한 증상이 있자 의료진은 요.. 2018. 12.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