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Cerebral infarction) 증상과 치료방법
뇌경색은 뇌혈관 폐색(혈관이 막히는 것)으로 인해 뇌에 공급하는 혈액량이 감소해 뇌조직의 뇌사가 발생하면서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뇌경색 증상은 갑자기 어지럽거나 구토를 하거나 손발이 떨이고, 말이 어눌해지거나 발작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증상이 심해지면 갑작스럽게 경련이 발생하거나 시야장애, 편마비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뇌출혈과 뇌경색은 그 치료법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치료가 시작되기 전에 CT나 MRI 촬영 검사를 시행해 두 질환을 구별해야 한다.
뇌경색은 주로 혈전이나 색전으로 인해 뇌혈관이 막혀 발생한다. 따라서 막힌 혈관을 재개통해 주변부 허혈성 반음영 영역을 괴사 없이 살리는 것이 치료의 중심이다.
일반적으로 뇌경색 발병 3시간을 전후해 혈전용해제를 사용하고, 6시간이 초과한 경우 항응고제 또는 항혈소판제를 사용하는 항혈전요법, 스텐트삽입술, 혈관성형술 등이 고려된다.
뇌경색 치료 의사의 주의의무
뇌경색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는 관련 검사를 통해 조기에 뇌경색 여부를 확인하고, 환자의 상태를 면밀하게 경과관찰해야 하며, 뇌경색으로 진단된 경우 환자의 상태에 맞는 치료를 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이와 함께 해당 의료기관의 사정상 뇌경색 진단 또는 치료를 할 수 없는 사정이 있다면 신속하게 상급병원으로 전원해 상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뇌경색 치료를 하기에 앞서 환자의 상태에 맞는 치료법을 설명하고, 치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후유증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해야 할 의무도 있다.
다음은 뇌경색 의심증상으로 환자가 내원했을 때 의사가 지켜야 할 기본적인 주의의무와 관련한 실제 의료분쟁 사례다.
뇌경색 의심증상을 보이는 환자를진료하는 의사의 첫번째 주의의무는 조기 진단 및 경과관찰이다. 병원에 내원한 환자가 어지럼증, 구토 등의 증상을 호소할 경우 의사는 해당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신경과에 협진을 의뢰하거나 정밀진단 등을 실시할 의무가 있다.
일례로 환자가 슬관절치환술을 받은 다음 날 구음장애, 얼굴 왼쪽 마비, 음식 저작능력 저하, 어눌한 말투 등 뇌경식 의심 증상을 보였음에도 의료진이 이를 제대로 관찰하지 않고, 하루가 다 지나서야 신경과로 전원시켰다면 경과관찰을 소홀히 한 과실이 있다는 게 법원의 판례다.
다음은 신속하게 치료해야 할 주의의무이다.
의사는 환자에게 뇌경색이 발생한 경우 발생 시간, 발생 원인, 동반 질환, 적응증, 출혈 위험성 등을 고려해 항혈소판제나 항응고제, 혈전용해제 등 적절한 약물을 투여하거나 스텐트삽입술 등을 신속하게 시행할 의무가 있다.
뇌경색 치료와 관련한 의료분쟁 사례를 보면 환자는 내시경검사를 받기 위해 7일 전부터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했다.
환자는 수면내시경검사를 받은 뒤 1시간 30분이 지난 뒤에도 깨어나지 않았고, 의료진이 뇌 MRI 촬영을 한 결과 뇌경색이 발병한 것으로 진단되자 혈전용해제인 액티라제를 주사한 뒤 곧바로 상급병원으로 전원조치했다.
이에 대해 법원은 의료진이 뇌경색에 대해 적절한 응급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뇌경색 진단을 한 의사는 전원의무도 있다. 만약 의료기관이 환자의 뇌경색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MRI 장비나 전문인력이 없다면 진단 치료를 할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 신속하게 전원해야 한다.
관련 사례를 보면, 환자는 119 구급차를 통해 K병원에 내원했고, 당시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등 전형적인 뇌경색 증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뇌경색 확진을 위해 뇌 MRI 또는 뇌 CT 촬영을 해야 하지만 야간이어서 촬영 인력이 없는 상황이었다.
이런 경우 관련 검사를 할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 환자를 전원시켜야 함에도 무려 14시간이 지난 뒤 MRI 촬영을 해 환자로 하여금 상하지 마비에 이르게 했다.
환자가 자기결정권을 가지기 위해서는 의사의 설명의무 역시 매우 중요하다. 환자의사는 환자에게 뇌경색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발생한 경우 뇌경색 발생 가능성과 추적관찰 필요성 등을 설명하고,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병원에 내원하도록 교육하는 등 뇌경색을 조기치료할 수 있도록 설명의무를 다해야 한다.
아울러 뇌경색 치료 방법과 치료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후유증에 대해 환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해야 할 의무도 있다. 따라서 환자나 환자 보호자는 뇌경색 치료를 받기 전에 이런 점들을 꼼꼼하게 물어보고 신중하게 치료를 받을지, 다른 의료기관으로 전원할지 등을 결정하는 게 현명하다.
2022.06.25 - [안기자 의료판례] - 뇌졸중 진단, 치료 지연 과실
'안기자 의료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통 등 담낭염 증상 감별검사 안해 패혈증 (0) | 2022.10.29 |
---|---|
가슴축소수술 부작용 알아야 성형 후회 안한다 (0) | 2022.10.28 |
심근경색 전조증상과 의사 주의의무 및 의료분쟁 (0) | 2022.10.26 |
후종인대골화증 증상과 환자가 알아야 할 의사의 의무 (1) | 2022.10.26 |
급성심근경색 의심증상 환자 진단, 치료상 과실 (0) | 2022.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