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기자 의료판례

허리 통증 원인과 환자 유의할 점

by dha826 2024. 4. 6.
반응형

허리 통증 증상의 원인과 치료 원칙

허리 통증 즉, 요통은 허리에서 나타나는 모든 증상의 총칭이다. 요통은 누구나 한 번쯤은 경험했을 정도로 흔하다.

 

요통은 근육의 이상이나 허리등뼈(요추) 부위 염좌(), 노화로 인해 기능이 퇴화하는 퇴행성 변화로 생기기도 한다.

 

그런데 주로 저림 증상과 허리 주변의 통증 등 추간판(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의 물렁뼈) 탈출증과 비슷한 증상을 보여 허리 디스크로 오인하기도 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허리 통증의 원인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인대나 근육이 늘어나거나 일부 찢어지는 염좌(),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척추가 C자나 S자 모양으로 휘어지고, 척추 마디마디가 변형된 척추 측만증, 척추 뼈가 다른 척추 뼈보다 전방으로 튀어나온 척추 전방 전위증 등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또 엉덩이에서부터 아래쪽 허벅지, 다리까지 이어지는 좌골신경(궁둥뼈신경)에서 발생하는 좌골신경통, 퇴행성 디스크, 골관절염, 압박골절 등도 허리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이와 함께 체중의 증가, 근력 약화, 허리 주변 구조의 불균형 등과 같이 아직 명확한 진단명으로 자리 잡히지 않은 원인들도 많다.

 

이처럼 허리 통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척추를 둘러싸고 있는 근육, 신경, 척추까지 연결해 주는 인대에 문제가 있거나 근육이 굳어지는 구축, 디스크 돌출, 인대 건의 약화 등이 복합된 형태로 나타나고, 디스크 파열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허리 통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다양한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한 후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 정확한 진단에 기초해 보존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부득이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수술을 할 경우 최소 침습 방식으로 시행해 병변 주변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수술 상처가 작도록 해야 회복이 빠르며,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허리 통증 원인과 치료전 유의할 점
허리 통증 원인과 치료 전 유의할 점

 

디스크를 예로 들면 보존적 치료는 증상 초기일 때 마사지, 안정, 온열 요법 등의 치료를 시도하고, 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등을 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수술적 치료는 경막 외 신경성형술, 신경차단술, 인대 강화치료, 통증 유발점 주사, 고주파 치료, 콜라겐주사치료 등이 있다.

 

디스크 환자 중 수술이 필요한 것은 10% 미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스크가 신경을 심하게 눌러 운동 마비가 오거나 극심한 통증, 소변보기가 힘들고, 배변 활동을 자기 자신이 통제할 수 없을 때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허리 통증 치료 전 유의할 점

따라서 허리 통증 치료가 필요하다면 다음과 같은 점을 유념하고 의료기관에 내원하는 게 좋다.

 

. 비수술적 치료를 우선하는 의료기관 선택

상당수 허리 통증 질환은 수술이 필요하지 않다. 정확한 진단에 기초해 적절한 보존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심각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수술부터 권고할 경우 다른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아본 뒤 신중하게 결정하는 게 안전하다. 자칫 수술 과정에서 마비 등이 발생하면 평생 부작용이 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허리 통증 원인
허리 통증 원인

 

. 숙련된 의료진으로부터 수술

허리 통증의 원인이 디스크, 압박골절 등이어서 수술을 받아야 한다면 아무래도 수술경험이 풍부한 전문의로부터 수술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

 

따라서 수술 집도의의 전문분야, 해당 수술을 집도한 건수 등을 확인한 뒤 신중하게 수술을 받을지 결정해야 한다.

 

. 의료진으로부터 충분한 설명 듣기

허리 통증 수술을 하기 전 의료진은 환자 또는 환자의 법정 대리인에게 환자의 상태, 다양한 수술 방법,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장애, 후유증, 부작용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 환자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의무가 있다.

 

환자 역시 의료진으로부터 설명을 듣는 과정에서 평소 복용하고 있는 약물(고혈압, 당뇨 등)에 대해 이야기해 의료진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부작용 대처 방법 등을 숙지해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

 

허리 통증 치료할 때 주의할 점
허리 통증 치료 전 주의할 점

 

아울러 수술 후 전문적인 재활훈련이 필요한지, 식이를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도 설명을 듣고, 의료진이 신뢰가 가지 않으면 다른 병원에서 추가적인 진료를 받아보고 결정해도 늦지 않다.

 

위의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글 아래 구독하기공감을 눌러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법원 사진허리 통증 의료사고 대응
법원 사진, 허리 통증 의료사고 대응

 

2024.02.03 - [안기자 의료판례] - 요통, 방사통 허리 디스크… 수술 전 알아둘 점

 

요통, 방사통 허리 디스크… 수술 전 알아둘 점

허리 디스크 증상과 치료방법, 주의사항 허리 디스크(요추 또는 천추(엉치뼈) 추간판탈출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허리 통증인 요통과 하지 방사통, 다리 저림 등이다. 방사통은 디스크로 인해 다

dha826.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