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기자 의료판례

탈장 등 소아 수술, 마취 과정 유의할 점

by dha826 2024. 4. 30.
반응형

소아 마취 수술 후 회복 과정 주의해야 할 뇌 손상

영아인 KP 병원에서 탈장 수술을 한 뒤 병실로 돌아왔는데 오전 1013분 병실 침대에서 팔, 다리를 움직이면서 울고 있었고, 의료진이 체온을 측정한 결과 36도였다.

 

그런데 의료진이 오전 1027분 병실에 와서 보니 영아가 침대에 누워 울지 않고, 얼굴이 창백한 상태였다. K는 오전 1040분에는 목에서 가래 끊는 소리가 나고, 딸꾹질 양상을 보이며, 울려도 울지 않았다.

 

이에 의료진은 산소를 투여했지만 산소포화도가 86%, 맥박이 170~180회였다. K는 오전 1131분에는 산소포화도가 안정적으로 회복되지 않았고, 산소와 수액을 투여한 뒤 상급병원으로 전원 되었다.

 

K는 상급병원으로 전원 되어 치료를 받았지만 저산소성 뇌손상으로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과 보행 등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소아 마취 과정 유의할 점
소아 수술 과정 유의할 점

 

영아, 소아 수술 마취 후 회복 과정 경과관찰 필수

출생 24개월 미만의 영아나 소아에 대해 탈장 수술 등을 하기 위해 전신마취를 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환기가 되지 않는 시간이 짧더라도 성인에 비해 쉽게 저산소증에 빠질 수 있어 기도 관리가 특히 중요하다는 점이다.

 

복부수술을 받은 영아나 소아의 경우 성인에 비해 작은 복압에도 흡인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기도 확보 및 산소 투여할 때 기도 내압이 오르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또한 영아는 체온이 쉽게 떨어지고 저체온에 취약하기 때문에 저체온에 주의해야 한다.

 

영아에 대한 전신마취를 한 후 주의할 점은 수술 후 기도폐쇄, 무호흡, 산소포화도가 낮은 저산소혈증, 폐부종, 구역, 구토, 저체온, 고체온, 통증, 흥분 등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특히 전신마취에서 회복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호흡정지나 무호흡이 발생하기 쉬워 나이가 어릴수록 완전히 마취에서 회복하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영아는 호흡중추가 미성숙하고, 저산소혈증 자체가 호흡을 억제할 수 있어 저산소증, 무기폐(폐의 부피가 줄어든 상태)가 더 잘 발생한다.

 

따라서 마취 후 수술이 끝나면 회복실에서 일정 시간을 관찰해 완전히 마취에서 회복된 후 병실로 이송해야 한다.

 

회복실에서 주의할 점으로는 기도 상태와 환기가 적절한지 확인하고, 가습 된 산소를 공급하면서 심전도, 혈압계, 맥박산소측정기 등을 사용해 환자를 감시한다.

 

통상 회복실에서의 안전한 퇴실을 위해서는 의식이 완전히 깨어났거나 부르면 쉽게 대답하는 상태, 호흡기계 보호 반사가 존재하는 상태, 산소포화도가 대기를 흡입해도 95% 이상인 상태, 활동성 출혈 없이 순환기계가 안정된 상태여야 한다.

 

또 저체온 증상이 없고, 통증이나 구역질, 구토가 적절히 조절되는 상태에서 일반 병실로 옮겨야 한다.

 

마취통증의학과 의사는 환자의 특이사항을 포함해 수술 중 특이사항, 수액 공급 상태, 실혈량 및 수혈량, 기도 유지를 할 때 문제점 등을 회복실 의사나 간호사에게 인계해야 한다.

 

한편 영아의 활력징후 정상범위와 관련해 맥박은 깨어있을 때 분당 100~190, 수면할 때 분당 90~160, 호흡수는 분당 30~53, 영아의 산소포화도 정상범위는 95~99%이다.

 

수술 후 영아 뇌손상 사례
수술 후 영아 뇌손상 사례

 

영아, 소아 수술 후 의료진의 주의의무

수술에 참여한 의료진은 수술 직후 영아나 소아가 전신마취에서 회복하는 과정에서 그 상태를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만약 소아나 영아가 수술 후 울지 않고, 얼굴이 창백해지는 청색증 등 호흡에 문제가 있을 경우 심박수, 호흡, 피부색,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처치를 시행할 주의의무가 있다.

 

만약 의료진이 소아나 영아의 이상 증상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최악의 경우 저산소성 뇌손상으로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다.

 

위의 사례에서처럼 영아가 목에 가래 끓는 소리를 내고 딸꾹질을 하는 증상을 보인다면 이는 수술 후 마취에서 완전히 회복되지 못해 가래나 분비물을 뱉지 못해 흡인성 폐렴 또는 기도폐색으로 인한 저산소증 위험이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처치해야 한다.

 

소아 수술 의료진의 주의의무
소아 수술 의료진 주의의무

 

이때에는 맥박, 호흡, 혈압 등 활력징후 및 산소포화도 측정 외에도 즉시 청진을 시행하고, 기도유지기를 삽입하거나 기관 내 삽관, 고농도 산소 주입 등을 하고 기도 확보 후에는 흉부 사진을 촬영해 폐렴 등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위의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글 아래 '구독하기'와 '공감'을 눌러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법원 사진소아 수술 의료사고 대응
법원 사진, 수술 의료사고 대응법

 

2022.04.03 - [안기자 의료판례] - 서혜부 사타구니 탈장 원인과 수술 의료과실

 

서혜부 사타구니 탈장 원인과 수술 의료과실

서혜부 탈장 진단 원고는 여아인데 왼쪽 외음부 부위에 부종과 종괴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피고 1병원 응급실로 데려갔다. 원고를 진료한 의사는 오후 7시 56분 경 좌측 서혜부(사타구니) 탈장으

dha826.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