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Intensive Care Unit)은 생명이 위급한 급성질환자들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병실이다. 그만큼 예측 불가능한 중증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만큼 전담 의료진과 동맥혈 가스분석기, 인공호흡기, 지속적 신대체요법(CRRT), 기관지 내시경 등의 전문장비와 시설을 갖추고, 감염관리 등을 철저히 해야 한다.
보건복지부 산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중환자실의 전담 전문의 1인 당 중환자실 병상 수, 간호사 1인 당 중환자실 병상 수, 중환자실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 중환자실 감염관리 활동 여부, 중환자실 사망률에 대한 적정성평가를 실시해 그 결과를 발표해 환자들이 중환자실을 이용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23년 상급종합병원 45개, 종합병원 258개를 대상으로 4차 중환자실 적정성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2024년 7월 25일 1~5등급으로 분류해 발표했다.
적정성평가 결과 1, 2등급 중환자실은 대부분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었고, 군 단위에는 한 곳도 없었다. 따라서 우리가 사는 지역에서 가까운 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 중 어느 의료기관 중환자실이 우수한지 미리 파악해 두면 중환자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중환자실 적정성평가는 중환자실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지표를 충족하는지를 평가한 것이어서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중환자실을 선택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 정도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
다음은 2023년도 종합병원 급 이상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중환자실 적정성평가에서 1~2등급을 받은 곳을 지역별로 분류한 것이다.
시도별 적정성평가 1~2등급 중환자실
강원도는 고성군, 속초시, 양양군,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양구군, 인재군, 고성군, 정선군, 태백시, 철원군, 화천시, 춘천시, 홍천군, 횡성군, 원주시, 영월군 등 18개 시군이 있지만 중환자실 평가에서 1~2등급을 받은 의료기관은 춘천시 강원대병원과 춘천성심병원, 강릉시 강릉아산병원, 원주시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등 4개에 불과하다.
경기도는 28개 시와 3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시군 중 중환자실 적정성평가에서 1~2등급을 받은 의료기관이 소재한 지역은 고양시, 광명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 남양주시, 부천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안양시, 용인시, 의정부시, 이천시, 평택시, 화성시 등 17개 시에 불과하다. 나머지 11개 시와 3개 군은 1~2등급 중환자실이 없다.
1, 2등급 중환자실을 보면 고양시에는 덕양구 명지병원, 일산동구 일산불교병원과 공단일산병원, 국립암센터, 일산서구 일산백병원, 광명시에는 중앙대광명병원과 광명성애병원, 구리시에는 한양대구리병원, 군포시에는 지샘병원과 산본병원, 김포시에는 김포우리병원과 뉴고려병원, 남양주시에는 현대병원, 부천시에는 소사구 부천세종병원, 원미구 부천성모병원과 순천향대부천병원, 성남시에는 분당구 분당서울대병원과 분당제생병원, 분당차병원, 수정구 성남시의료원이 있다.
수원시에는 권선구 화홍병원, 영통구 아주대병원, 장안구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팔달구 성빈센트병원, 시흥시에는 시화병원, 안산시에는 단원구 단원병원과 고대안산병원, 상록구 사랑의병원, 안양시에는 동안구 한림대성심병원, 만안구 안양샘병원, 용인시에는 기흥구 용인세브란스병원, 의정부시에는 의정부을지대병원과 의정부성모병원, 이천시에는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 평택시에는 굿모닝병원, 화성시에는 한림대동탄성심병원이 1~2등급을 받았다.
경상남도에서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1~2등급 의료기관은 양산시 양산부산대병원, 진주시 경상국립대병원, 창원시 마산회원구 삼성창원병원, 성산구 창원경상국립대병원, 의창구 창원한마음병원과 창원파티마병원 등 6개가 전부다.
이들 시를 제외한 통영시, 사천시, 김해시, 밀양시, 거제시,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에는 1, 2등급 중환자실이 없는 상태다.
경상북도에서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1, 2등급 의료기관은 5개다. 경주시 동국대경주병원, 구미시 순천향대 구미병원, 안동시 안동병원, 포항시 남구 포항세명기독병원과 에스포항병원이다.
울진군, 봉화군, 영주시, 문경시, 상주시, 예천군, 영양군, 의성군, 김천시, 성주군, 고령군, 칠곡군, 영덕군, 청송군, 영천시, 경산시, 청도군에는 우수 평가를 받은 중환자실이 한 곳도 없다.
광주광역시에서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1등급 또는 2등급 의료기관은 남구 광주기독병원, 동구 전남대병원과 조선대병원, 서구 서광병원 등 4개다.
대구광역시의 경우 남구 대구가톨릭대병원과 영남대병원, 달서구 계명대 동산병원, 북구 칠곡경북대병원, 중구 계명대 대구동산병원과 경북대병원 등 6개 의료기관이 중환자실 우수 평가를 획득했다.
대전광역시는 7개 의료기관이 중환자실 1, 2등급을 받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대덕구 대전보훈병원, 서구 건양대병원과 대전을지대병원, 유성구 유성선병원, 중구 대전성모병원과 대전선병원, 충남대병원 등이다.
부산광역시에서는 11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이 우수 중환자실 인정을 받았다. 남구 부산성모병원, 부산진구 부산백병원, 북구 부민병원, 사상구 부산보훈병원, 서구 고신대 복음병원과 부산대병원, 동아대병원, 삼육부산병원, 중구 메리놀병원, 해운대구 해운대부민병원과 해운대백병원 등이다.
서울시를 보면 강남구에 강남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강동구에 강동경희대병원, 강동성심병원, 중앙보훈병원, 강서구에 이화여대 부속 서울병원, 부민병원, 관악구에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광진구 건국대병원, 구로구 고대구로병원, 노원구 원자력병원, 상계백병원, 노원을지대병원, 동대문구 경희대병원, 삼육서울병원, 서울성심병원, 동작구 보라매병원, 중앙대병원, 서대문구 연대 세브란스병원, 서초구 서울성모병원, 성동구 한양대병원, 성북구 고대 안암병원,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양천구 홍익병원, 이대 부속 목동병원, 영등포구 여의도성모병원, 명지성모병원, 강남성심병원, 성애병원, 용산구 순천향대 부속 서울병원, 은평구 은평성모병원, 종로구 서울대병원, 강북삼성병원, 중구 국립중앙의료원, 중랑구 서울의료원 등 35개 의료기관이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1, 2등급을 받았다.
세종특별자치시에는 세종충남대병원, 울산광역시에는 울산대병원, 인천광역시에는 계양구 인천세종병원, 한림병원, 남동구 길병원, 부평구 인천성모병원, 서구 국제성모병원, 나은병원, 검단탑병원, 중구 인하대병원이 우수 중환자실로 선정되었다.
전라남도에서는 화순군 화순전남대병원이 유일하게 중환자실 적정성평가에서 2등급을 받았다. 화순을 제외한 신안, 영광, 장성, 담양, 곡성, 구례, 광양, 여수, 고흥, 완도, 해남, 진도, 목포, 무안, 함평, 순천, 보성, 장흥, 강진, 영암, 나주에는 1등급 또는 2등급 중환자실이 없는 상태다.
전북특별자치도에는 군산시 동군산병원, 익산시 원광대병원, 전주시 전북대병원, 대자인병원, 예수병원이 1등급 또는 2등급 적정성평가를 받았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우 제주한라병원과 제주대병원, 충청남도에서는 천안시 단국대 부속병원, 순천향대 천안병원, 충청북도에서는 제천시 명지병원, 청주시 한국병원, 충북대병원만 중환자실 적정성평가에서 1~2등급을 획득했다.
중환자실 적정성평가 결과 확인 방법
각 지역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의 적정성평가 등급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인터넷 홈페이지( www.hira.or.kr)에서 의료정보 → 의료평가정보 → 병원평가 → 병원평가 검색 → 평가항목 ‘중환자실’ → 세부항목 ‘중환자실’ 순으로 검색하면 된다.
'의료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암 증상과 수술 등 치료비, 산정특례 (0) | 2024.08.05 |
---|---|
뇌출혈, 뇌경색 등 뇌졸중 치료 우수 병원 (1) | 2024.07.31 |
간경화 증상과 식도정맥류, 출혈 합병증 (0) | 2024.07.26 |
섬망에 항정약 할로페리돌 투여 주의할 점 (0) | 2024.07.20 |
무서운 괴사성 근막염 '회음 괴저' (0) | 2024.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