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폐암 환자가 알아야 할 조직검사 폐암 조직검사와 의사의 주의의무 폐암이 의심되는 환자는 통상 흉부 CT 또는 기관지내시경에서 비정상적인 소견이 관찰되어 폐암을 의심하게 되며,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병리학적 조직검사를 시행한다. 조직검사 방법은 병변의 위치와 양상에 따라 선택한다. 기관지경을 통한 세척액 세포진 검사, 경기관지 생검, 미세 침 흡인검사(경피천자술), 개흉 생검 등이 있다. 미세 침 흡인검사는 폐암이 의심되는 부위를 흉부 CT로 유도해 피부를 통해 주삿바늘을 찔러 소량의 폐 조직을 얻어 이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쐐기절제술(wedge resection)은 병변이 있는 작은 범위의 폐 조직을 경계를 두고 절제하는 수술 방법이다. 폐암과 다른 폐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한 경우 진단의 목적으로 시행하거나 종양이 접근하기 쉬운 말.. 2024. 2. 4.
요통, 방사통 허리 디스크… 수술 전 알아둘 점 허리 디스크 증상과 치료방법, 주의사항 허리 디스크(요추 또는 천추(엉치뼈) 추간판탈출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허리 통증인 요통과 하지 방사통, 다리 저림 등이다. 방사통은 디스크로 인해 다른 부위, 예를 들면 다리에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허리 디스크 증상이 있다고 해서 바로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치료를 할지는 의사가 MRI 등의 검사와 환자의 나이, 증상의 정도, 합병증 등을 모두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하는데 통상 약물치료를 우선적으로 한다.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선택적 신경근차단술 등을 고려하게 된다. 선택적 신경근차단술이란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근 주위에 국소마취제와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을 주입해 통증 신호를 차단해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방법이다. .. 2024. 2. 3.
프로포폴 수면내시경 검사 전 유의할 점 수면내시경 검사 후 장해 예방하려면 프로포폴 진정 후 수면내시경 검사를 하는 의사는 검사 전, 검사 과정, 검사 후 경과관찰 과정에서 주의의무를 다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면내시경 검사 후 심각한 뇌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따라서 수면내시경 검사를 받아야 한다면 아래와 같은 점을 반드시 유의해서 검사를 받을 의료기관을 결정하는 게 안전하다. 프로포폴 투여 전 확인할 점 수면내시경검사를 할 때 프로포폴을 진정제로 많이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속효성 제제의 특성상 사망에 이르게 되는 확률이 낮기 때문인데 호흡억제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프로포폴의 부작용으로는 저혈압, 호흡억제 등이 있는데 고령의 환자는 투여량을 줄이고, 심장, 호흡기계, 신장 또는 간장손상환자는 신중하게 투여해야 한다. 프로포.. 2024. 2. 2.
급성후두개염 증상과 호흡곤란 기도폐쇄 급성후두개염 환자가 알아야 할 응급처치 급성후두개염(acute epiglottitis) 증상은 급성 인후두염에 비해 심한 증상을 호소한다, 즉, 발열, 점점 심해지는 목의 통증 및 음식 삼키기 어려움, 마치 뜨거운 감자를 입에 물고 있는 것처럼 웅얼거리는 목소리 변화, 호흡곤란 등을 호소한다. 급성후두개염은 기도폐쇄에 이르게 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아래 사례는 급성후두개염 진단 아래 기도폐쇄가 있다고 판단해 윤상갑상막절개술을 시행했지만 항생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지 않고, 경과관찰을 소홀히 해 환자가 사망에 이른 사안이다. 급성후두개염 응급처치 소홀 사례 오한을 느끼고, 침 삼키기가 어렵다는 증상을 호소했지만 열은 없었던 A 씨. A는 응급실에 내원해 경부 CT 촬영을 한 뒤 호흡곤란 증상을 보였지.. 2024. 1. 31.
팽대부 종양 환자가 알아야 할 수술 후 부작용 환자가 알아야 할 팽대부 종양 수술 후 췌장루 등 합병증 팽대부에서 종양이 발견되면 총담췌관조영술 검사 등을 시행해 악성인지 양성인지를 진단한 뒤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 췌십이지장 절제수술을 하게 된다. 수술 과정에서는 간 외 총담관과 소장을 문합하는 과정에서 봉합을 제대로 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담즙 및 췌장액이 누출되어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췌십이지장절제술은 시술이 복잡하고, 수술 시간도 많이 소요되며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합병증은 출혈, 췌장루, 간 괴사 등이 있다. 그중 췌장루는 췌십이지장 절제 후 재건하는 3개의 문합부에서 어느 부위든 누출이 있을 수 있다. 가장 문제가 흔하고 중증 합병증으로 발전할 수 있는 것이 췌장루이다. 췌장루의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조기 발.. 2024. 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