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충수 맹장염 증상, 수술 후 통증 등 대처 환자가 알아야 할 맹장염 수술 맹장염(충수염, 충수돌기염)은 충수(맹장)에 생긴 급성 염증이다. 증상은 개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염증이 진행되면서 초기에는 명치 부위나 배 전체가 거북하고, 메스꺼우며 소화가 안 되고, 대부분 오른쪽 옆구리 통증, 복통, 고열 등이 발생한다. 복부 CT 검사를 통해 급성 충수염 진단이 내려지면 복강경 등을 이용한 충수절제수술을 하게 되는데 증상이 나타난 후 72시간이 경과하는 등 수술이 지연되면 염증 부위가 터지는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복막염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발견, 신속한 수술이 매우 중요하다. 수술 후 수술 부위 통증, 오한, 빈혈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런 증상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면 패혈성 쇼크로 사망할 수도 있어 .. 2024. 2. 12.
두통, 마비 동반 뇌종양 수술 방법, 의사의 의무 뇌종양 수술 종류, 환자가 알아야 할 의사의 주의의무 뇌종양의 일반적인 증상은 종양이 자라면서 뇌압이 상승해 두통, 구토, 발작, 시력 장애, 안면 및 팔다리 마비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뇌종양의 일종인 청신경초종의 경우 초기 임상 증상으로 청력 감퇴, 이명, 난청 등이 있으며 종양의 크기가 커지면서 주변 뇌신경과 뇌간 및 소뇌를 압박해 얼굴이나 혀의 감각 둔화 또는 이상 증상, 두통, 복시, 보행 장애, 연하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뇌종양은 MRI 또는 CT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치료방법은 종괴의 크기가 작을 때에는 경과관찰을 하고, 수술적 치료, 방사선 치료, 약물치료 등을 하게 된다. 어떤 치료방법을 선택할 것인지는 의사의 재량이다. 의사는 의학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 2024. 2. 8.
협심증 증상과 치료방법, 환자 유의할 점 협심증 치료 순서와 관상동맥스텐트삽입술 협심증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 혈전 등으로 좁아지거나 막히면 심장 혈액 공급에 문제가 생긴다. 이로 인해 심장이 바쁘게 움직여야 할 상황에서는 더 많은 혈액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때 좁아진 관상동맥으로 인해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면 가슴 통증과 호흡 곤란을 동반한 협심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기적이고 간헐적으로 가슴 통증,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병원 신경과에서 진료를 받게 된다. 가슴 통증으로 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 협심증이 악화되지 않도록 할 주의의무가 있다. 협심증 치료 방법 협심증은 우선적으로 약물치료를 하면서 경과 관찰을 하는 게 통상적이다. 경과 관찰 과정에서 운동부하검사.. 2024. 2. 7.
인공관절수술 후 통증 등 부작용, 유의할 점 인공관절수술 적응증과 수술 후 증상, 의사 주의의무 무릎이나 어깨, 고관절 등의 연골이 파열되거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 관절이 닳거나 손상되어 통증이 동반되면 우선적으로 비수술적인 약물치료를 시행한다. 하지만 약물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해서 통증이 개선되지 않으면 인공관절치환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인공관절수술은 보통 연골이나 뼈가 닳아 망가진 부분을 제거한 뒤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을 의미한다. 인공관절치환술 적용 부위 인공관절치환술은 주로 어깨, 무릎, 고관절(엉덩 관절)에서 시행한다. 어깨 인공관절치환술은 류머티즘 관절염이나 퇴행성 관절염 등 어깨의 통증이 심하거나 복원이 불가능할 정도로 어깨 근육 및 뼈가 파열된 환자에게 적용한다. 무릎 인공관절치환술은 다리가 심하게 휘거나, 일상생활이 힘.. 2024. 2. 6.
뇌종양 청신경초종 증상과 환자 유의할 점 뇌종양 증상과 다양한 수술방법 뇌종양의 일종인 청신경초종은 귀의 청력 저하, 귀의 이명, 어지러움, 안면마비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치료 방법은 환자의 나이와 종양의 크기와 위치, 병변 등을 고려해 경과 관찰, 약물 치료, 적출 수술, 방사선수술, 감마나이프 수술 등을 고려하게 된다. 안면마비는 뇌종양, 뇌졸중, 당뇨, 뇌신경의 감염성 질환, 뇌의 외상, 근 무력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뇌종양은 크기가 작을 때에는 안면마비를 일으키지 않다가 커지면서 마비를 유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 위치와 방향 등에 따라서는 크기가 작아도 안면마비를 수반하기도 하고, 반대로 크기가 크더라도 전혀 안면 마비가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뇌종양이나 뇌졸중, 감염, 외상, 근 무력증 등 다른 유.. 2024. 2.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