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맹장 충수염 증상, 주의해야 할 복막염 급성충수염 초기증상, 환자 유의할 점 충수염(맹장염)은 복부의 오른쪽 아래에 위치한 맹장에서 벌레 모양으로 튀어나온 약 10cm가량의 작은 돌기인 충수에 염증이 생긴 질병이다. 충수염은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소화불량과 상복부 통증 등으로 나타나다가 6~7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오른쪽 하복부 통증으로 정착되는 경과를 보인다. 이때를 전후해 구역질과 구토가 동반되기도 한다. 그러나 충수의 위치가 드물게는 왼쪽 하복부나 맹장의 뒤쪽 또는 간장 아랫부분인 경우에는 치골 윗부분, 왼쪽 하복부 등에 국한된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맹장염의 임상증상으로서는 특히 오른쪽 하복부 압통 및 반발통이 전형적이다. 염증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체온 상승, 백혈구 수치 증가 등이 동반되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 2024. 2. 22.
뇌하수체 선종 증상, 치료법, 환자 유의할 점 뇌하수체 선종 종류와 합병증, 환자 주의사항 A 씨는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 과정에서 말단비대증 소견이 있으니 내분비내과에서 치료를 받아보라는 권유를 받고, 내분비내과에 내원했다. 말단비대증은 성장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어 신체의 말단인 머리, 손, 발 등이 비대해지는 만성 질환이다. 내분비내과 의료진은 A에 대해 성장호르몬 인자(IGF-1) 검사, CT 및 MRI 검사를 거쳐 뇌종양의 일종인 뇌하수체 종양 소견을 관찰했다. 이에 의료진은 혈액검사 등 추가 검사를 통해 성장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거대 선종으로 진단했다. 뇌하수체 선종이란? 뇌하수체는 뇌의 정중앙부 하단에 위치한 신체기관으로 유즙 분비 자극 호르몬인 프로락틴, 성장호르몬, 갑상선자극 호르몬,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등을 분비한다. 뇌하수체 선종.. 2024. 2. 21.
간경화, 간암 검사와 치료, 환자가 유의할 점 간경화와 간암 검사 방법, 환자가 알아야 할 점 간암 발생률은 간염 발생일로부터 10년이 지나면 11%, 20년이 지나면 35%로 증가되고, 간암 환자의 75~80%가 간염 환자이며, 이들 환자 중 약 50~55%가 B형 간염 환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간암은 그 진단이 어렵고, 대부분 진단 당시 이미 간경변증을 동반하면서 병기가 진행된 경우가 많아 예후가 매우 불량하다. 따라서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는 정기적으로 간 기능검사를 받아야 한다. 간암의 발생 과정은 간경변증과 같은 만성 간질환에서 발생되는 재생성 결절에서 시작되어 이형성 결절, 조기 간암, 소간암, 진행성 간암에 이르는 발전 단계와 만성 간질환을 거치지 않고 정상 간에서 직접 간세포암이 발생하는 형태로 나눌 수 있다. 간경화, 간암 검사.. 2024. 2. 20.
시력교정 렌즈삽입 종류, 부작용, 유의점 전방 및 안내렌즈삽입술과 의사의 의무 렌즈삽입술은 각막이 너무 얇거나, 레이저 시력교정술의 절삭량이 지나치게 많아져 각막에 부담이 될 때 안구 구조를 그대로 보존하면서 시기능도 뛰어난 수술법이다. 렌즈삽입술은 알티산, 알티플렉스, EVO+Aqua ICL, ECHO, Toric Artiflex/Toric ICL 등 다양하다. 전방렌즈는 홍채 앞에 렌즈를 직접 고정하는 방식으로, 알티 플렉스 계열의 렌즈가 사용된다. 홍채에 직접 렌즈를 고정하는 방식이어서 비교적 안정적이다. 후방렌즈, 안내렌즈삽입술은 수정체와 홍채 사이에 렌즈를 삽입하는 방식이다. 후방렌즈는 홍채 절개를 하지 않기 때문에 검사를 진행한 당일 수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렌즈삽입술 하기 전 알아둘 점 가. 렌즈 선택이 중요하다 렌즈 크기가 .. 2024. 2. 19.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은 보험금에서 제외 건강보험법 상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 실손보험 보상 여부 2009년 10월 이후 시행된 2세대 실손보험 보험약관은 건강보험법 상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에 대해서는 보상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하지만 1세대 실손보험 보험약관에는 이런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에도 실손보험사들이 건강보험법 상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을 보상 대상에서 제외해 소송으로 비화되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와 함께 2세대 실손보험 상품을 판매하는 보험사들이 피보험자들에게 보험 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본인부담금 상한액 초과금에 대해서는 보상하지 않는다’는 점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않다가 피보험자들이 보험금 지급 신청을 하면 약관을 보여주며 보험금 지급을 거절하는 사례가 적지 않아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처럼 본인부담상한액 초과.. 2024. 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