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낙상 고위험군 환자 침대에서 떨어져 뇌출혈 낙상 고위험군 환자 침대에서 떨어져 뇌출혈 발생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빈혈, 피로, 쇠약, 식욕 부진, 체중 감소, 발열, 출혈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특히 백혈병 환자에게 뇌출혈이 발생하면 의식 소실이 동반되고, 내과적 혹은 외과적 치료에 불응해 사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가 각종 검사와 항생제, 항암제를 투여했다면 낙상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낙상 고위험군 환자로 분류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낙상 고위험군 환자가 낙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치를 해야 할까? 첫째, 환자, 보호자에게 낙상에 대한 주의사항을 설명하고, 낙상 위험에 대한 안내문을 교부한다. 둘째,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보호자가 자리를 비우지 말아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도록 충분히 교육해야 한다. .. 2023. 7. 28.
발목인대 파열 수술 후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발목인대 파열 수술 후 감염, 만성 통증 발생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외상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적인 신경병증성 통증 질환이다. 신경손상과 상관없는 경우 1형, 신경손상이 선행되었다면 2형으로 분류한다. 아래 사안은 발목 인대 파열에 대해 수술을 받고 3개월 뒤 수술 부위에서 고름, 감염이 발생해 두 차례 더 수술을 한 뒤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진단을 받은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1차 수술 과정에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게을리했는지, 감염에 대한 경과 관찰 의무를 다했는지, 3차 수술 중 의료진의 과실로 인해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이 초래되었는지, 설명의무를 다했는지 등이다. 발목 인대 재건수술 후 복합부위통증증후군 A는 발목을 자주 삐는 증상과 함께 통증이 계속되자 B 병원에 내원했고, 의료진.. 2023. 7. 26.
양수과소증, 융모양막염 산모 진료 의사의 의무 융모양막염 산모 분만 지연한 의사의 과실 융모양막염은 산모의 융모막, 양막, 양수가 감염되는 질병이다. 융모양막염을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태아에게 뇌성마비가 발생하거나 자궁 내 사망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증상은 37.8도 이상의 고열과 백혈구 수 증가, 임산부나 태아의 빈맥, 질 분비물에서 악취 발생, 자궁의 압통 등이 나타난다. 융모양막염 진단이 내려지면 산모에게 패혈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하고, 즉각 분만해야 한다. 임신 23주 전에 조기 양막 파수가 있는 산모의 약 30~40%에서 융모양막염이 발생하고, 특히 양수가 매우 적은 산모에게 발생할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래 사례는 조기 양막 파수 산모에게 융모양막염이 의심되는 증상이 발생했지만 적절한 .. 2023. 7. 25.
척추 경막 외 출혈 뒤늦게 수술 했지만 하지 마비 척추 경막 외 출혈 수술 늦어 다리 하지 마비 요추 MRI 검사 등에서 상당량의 척추 경막 외 출혈(혈종)이 드러나고 환자에게 이와 관련한 증상들이 나타나는 상황이라면 의료진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까? 첫째, 정확한 진단을 통해 응급 상황을 대비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경과 관찰을 해야 한다. 환자에게 당장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이 보이지 않아 보존적 치료를 하더라도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환자를 안정시키고, 복용 중인 약물을 확인해 출혈성 경향이 있는 약물이 있다면 복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신경학적 이상 소견이 나타나면 신속히 수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세밀하게 경과를 관찰하는 게 필수적이다. 셋째, 출혈 방지를 위해서는 혈액응고 검사를 시행해 혈액응고 수치.. 2023. 7. 22.
손가락 힘줄 파열 부목 대신 봉합수술 후 굴곡 구축 손가락 힘줄 파열 봉합 수술 후 굴곡 구축 생겼다면 손가락이 칼에 베어 신전건이 절단된 것과 같은 건성추지는 수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지만 통상적인 건성추지에 대해서는 부목 고정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주로 한다. 건성추지에 대한 수술 후 장기간 핀을 고정하면 관절운동의 제한, 봉합된 신전건과 주위 조직의 유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핀 제거 후 경과 관찰이나 물리치료를 실시했음에도 손가락의 운동 제한이 있다면 신전건의 유착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이런 경우에 한해 유착 박리수술을 실시할 수도 있다. 건성추지는 비수술적 방법이든, 수술적 방법이든 굴곡 구축이 어느 정도 발생할 가능성이 많고, 일반적으로 건성추지 치료 후 약 15도 정도의 운동 제한이 초래된다. 아래 사안은 손가락 힘줄 .. 2023. 7.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