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경동맥 협착 치료와 뇌경색 의료과실 판단 경동맥 협착 치료, 의사의 책무, 의료과실 판단 기준 경동맥 협착은 뇌로 혈류를 공급하는 내경동맥 안에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고, 딱딱해지는 동맥경화증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경동맥 협착은 빨리 발견하면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지만 경동맥에서 떨어진 혈전이 뇌혈관을 막으면 뇌경색, 뇌졸중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 경동맥 내막 절제술 후 수술 부위 감염, 혈종, 뇌졸중이나 뇌경색, 뇌신경 손상, 시력 손상 등이 발생할 위험도 없지 않다. 경동맥 협착 치료 의사의 책무 가.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 방법 선택 내경동맥 협착에 대한 치료는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와 같은 약물을 투여하는 내과적 치료와 스텐트 삽입술과 같은 혈관 내 중재 치료가 있다. 또 경동맥 내막 절제술과 같은 외과적 치.. 2023. 8. 15.
식도 정맥류 위장관 출혈로 토혈, 혈변 있다면 식도 정맥류로 인한 상부 위장관 출혈 조치 과실 식도 정맥류는 정맥이 혹처럼 부풀어 오르는 것으로, 터지면 피를 토하는 토혈, 혈변을 보고, 심하면 출혈성 쇼크에 빠져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 등에서 출혈이 발생한 것으로, 위염, 식도염, 십이지장염, 식도와 위 정맥류 등이 원인이다. 상부 위장관 출혈이 발생하면 수액을 공급하고 수혈, 지혈제 투여 등을 한 뒤 빠른 시간 안에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실시해 출혈 위치를 확인하고, 결찰술이나 경화요법, 풍선탐폰법 등으로 신속하게 치료해야 한다. 아래 사례는 상부 위장관 출혈 소견을 보인 환자에 대해 신속하게 내시경 검사를 해 출혈 지점을 확인한 뒤 지혈 조치를 하지 않아 저산소성 뇌 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상부 .. 2023. 8. 14.
발열, 근육통 증상 검사 지연해 췌장염 악화 췌장염 증상 진단검사 지연해 상태 악화 의사는 발열이나 구토, 소화 불량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한 경우 발열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혈액검사 등 필요한 검사를 해야 한다. 또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하고, 여러 사정상 혈액검사, CT 검사 등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신속하게 상급병원으로 전원해 상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래 사안은 발열, 근육통 등의 증상으로 세 차례 입원 치료를 했지만 진단 검사를 하지 않아 급성 췌장염을 악화시킨 사례다. 발열 등 급성 췌장염 증상 있었지만 진단 지연 A는 8월 17일 발열, 근육통 증상으로 F 의원에 내원했다가 입원했고, 전신성 홍반 루푸스(SLE) 진단을 받은 후 스테로이드 투여 등의 치료를 받다가 퇴원했다.. 2023. 8. 12.
대동맥 판막 역류 수술 부작용 대동맥 판막 역류증 일반적 수술 방법 의료분쟁 대동맥 판막 역류 환자에 대해서는 어떤 수술을 하는 게 일반적인 치료법일까? 아래 사안은 대동맥 기시부 확장을 동반한 대동맥 판막 역류에 대해 벤탈 수술을 했지만 인조혈관 문합부에서 출혈이 발생하자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시행한 사례다. 대동맥 판막 역류 수술 방법 바꾼 게 과실일까? A는 휴식 중 가끔 불편한 느낌과 함께 가슴 통증 증상이 나타나자 S병원에 내원해 외래 진료를 받았다. 의료진은 대동맥 기시부의 확장이 동반된 심한 대동맥 역류증(Aortic regurgitation with aortic root dilatation) 진단을 받았다. A는 S 병원에 입원해 사전 검사를 받은 결과 좌심실의 크기와 기능은 정상이지만 대동맥 기시부의 확정이 동반된 대동.. 2023. 8. 9.
신생아 뇌성마비에 1심, 2심 법원 엇갈린 판결 신생아 뇌성마비 태변흡입 때문? 뇌경색이 원인? 신생아가 출생 후 뇌성마비가 발생했다면 태변흡입증후군 상태에 있는 태아에 대한 응급 제왕절개수술을 하지 않은 의료진의 과실 때문일까? 아니면 혈전이 내경동맥을 막아 뇌로 혈류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뇌경색이 발생한 때문일까? 아래 사안은 산모가 분만 과정에서 태아 심박동 수가 감소했고, 신생아가 분만 직후 뇌성마비가 발생한 사례다. 사건의 쟁점은 신생아에게 발생한 뇌성마비가 태변흡입증후군 상태인 태아에 대해 의료진이 응급 제왕절개수술을 하지 않은 과실로 인한 것인지, 내경동맥 혈전이 뇌의 혈류 공급을 막아 뇌경색이 발생한 때문인지 여부다. 신생아 출산 직후 뇌성마비 발생 사건 C는 임신 6주 차부터 G 병원에서 산전 진찰을 받아왔는데 출산 전까지 .. 2023. 8.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