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디스크 침 치료 후 통증, 배뇨장애 침 치료 주의할 점과 시술 후 배뇨장애 부작용 발생 침 치료를 하는 한의사는 환자의 체질, 상태, 과거 병력 및 수술 전력 등의 상황을 사전에 검토해 그에 맞는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또 침의 길이, 침을 찌르는 부위와 각도, 깊이 등을 잘 살펴 시술 과정에서 과다 출혈로 인한 혈종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의무가 있다. 아래 사례는 허리 디스크 진단을 받아 침도요법이라는 침 시술을 받은 뒤 심한 통증과 배뇨장애 등이 발생한 사안이다. 디스크 침 치료 경과 A는 등, 허리, 다리 통증이 발생하자 병원에서 MRI 촬영을 한 결과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진단을 받고 허리 수술을 권유받았다. A는 수술을 하지 않고 H 한방병원에 내원해 요추(허리뼈) 3번 옆 근육에 침도요법이라는 침 치료를 받았다. 침도요법은.. 2023. 8. 22.
대장 내시경검사로 용종 제거 중 출혈 사건 대장 내시경검사와 용종 제거 중 출혈 생겼다면 용종은 대장암의 전구 병변(최초에 나타난 병변)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대장 내시경검사 도중 용종이 발견되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통상 대장 내시경검사 도중 용종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대장 벽이 워낙 얇고, 용종을 떼어내면 장벽이 더 얇아질 수밖에 없어 천공은 대장 내시경검사의 주요 합병증이다. 더욱이 대장 내시경 검사를 하기 위해 공기를 주입해 대장 내강을 팽창시킴으로써 장벽이 얇아진 상태에서 공기압이 상승하면 천공이 더 잘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종을 떼어내는 과정에서 천공으로 인한 출혈이 발생했다고 해서 이를 의료 상 과실이라고 단언할 수 없으며, 여러 정황을 종합해 의료진의 잘못이 있었는지 가려야 한다. 아래 사.. 2023. 8. 21.
경동맥 협착 수술 집도의의 책무와 과실 경동맥 협착 수술 후 혈전에 의한 뇌경색 경동맥 협착에 대해 내막절제수술을 시행할 때 혈전을 충분히 제거하지 않으면 뇌경색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션트를 사용할 경우 션트 삽입 과정에서 혈관이 손상되거나 션트 삽입으로 인한 내막 박리, 공기나 혈전으로 인한 색전증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아래 사례는 경동맥 협착 진단에 따라 경동맥 내막 절제수술을 한 뒤 급성 뇌경색과 망막 동맥 폐색이 발생한 사안이다. 경동맥 협착 수술 경과 환자는 급성 심근경색으로 과거 스텐트 삽입술,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받은 뒤 대학병원에서 정기적으로 진료를 받아왔다. 그러던 중 뇌경색으로 왼쪽 팔 마비증상이 있자 G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가 증세가 호전되자 퇴원했다. 환자는 약 1년 뒤 G 병원 신경외과에서 진료를 받았.. 2023. 8. 18.
인공와우 이식수술 의사 과실 인공와우 이식수술 의사의 책무와 부작용 인공 와우 이식수술을 하는 의사는 수술에 앞서 측두골 CT 촬영, MRI 검사 등을 통해 와우 상태를 확인해 와우 기저부에 전극을 충분히 삽입해야 한다. 또 인공 와우 이식수술을 하기 전에 수술의 방법과 수술 후 합병증 등을 충분히 설명해 환자 스스로 수술을 받을지를 자기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의무가 있다. 아래 사례는 청각을 상실해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전극을 충분하게 삽입하지 못했고, 천공, 안면마비 등이 발생해 이식기를 제거한 사안이다. 인공 와우 이식수술 경과 A는 40년여 년 전 뇌막염을 앓은 후 청각을 상실했고, 인공 와우 이식수술을 받기 위해 E 병원에 내원했다. E 병원 의사는 A의 오른쪽 귀에 인공 와우 이식수술을 시행했다. 당시 와우 .. 2023. 8. 17.
척추수술 후 마비, 배뇨장애와 의사 잘못 정황 의사 과실 의심되는 척추수술 마비 등 부작용 척추 수술 후 환자의 운동기능이 저하되고, 배뇨장애가 발생했다면 의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런 상황이라면 혈종에 의한 신경 손상, 마미증후군을 의심해 CT 또는 MRI 검사를 해야 한다. 이를 통해 혈종을 확인했다면 최대한 신속히 혈종 제거 수술을 해야 회복 가능성이 높아진다. 아래 사례는 허리뼈 협착증, 급성 압박 골절 진단 아래 척추수술을 한 뒤 혈종이 발생해 재수술을 했지만 다리 마비, 배뇨 장애, 보행 장애가 발생한 사안이다. 척추수술 부작용 발생 경위 환자는 허리와 우측 엉덩이 통증이 발생해 11월 27일 M 병원에 내원해 요추(허리뼈) 2, 3번 협착증, 요추 2번 급성 압박 골절 진단을 받았다. M 병원 의료진은 다음 날 요추 2번에 대해 골 시.. 2023. 8.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