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선천성 심장병 수술 의료사고로 뇌 손상 선천성 심장병 수술 후 뇌 손상으로 장애 발생 팔로사징후(팔로네징후, 팔로네증후, 팔로4징증이라고도 불린다)는 심실 중격 결손증(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의 벽에 구멍이 생겨 이를 통해 혈류가 지나가는 질환), 우심실 유출로의 협착(혼합형 폐동맥 협착), 대동맥 기승(대동맥이 심실 중격 위로 걸쳐 있어 정상적인 위치보다 오른쪽에 위치하는 것), 우심실 비대 등 네 가지 해부학적 이상이 있는 선천성 심장 질환이다. 시미타 증후군은 심장, 혈관 및 폐에 기형을 초래하는 복합 기형으로, 폐에서 심장으로 유입되는 폐정맥의 전부 또는 일부가 대정맥에 연결되어 좌우 단락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아래 사안은 선천성 심장병으로 진단받아 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대동맥 캐뉼라가 탈락해 저산소성 뇌 손상이 발생해 발달 장애, 인지 .. 2023. 8. 2.
병원 바닥 물기에 낙상해 골절 사고 병원 바닥 물기 낙상 사고 병원 복도에 물기가 있으면 환자들이 넘어질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병원 운영자는 바닥에 물기가 있거나 남지 않도록 안전 표시판을 설치하거나 청소 시간이나 방법을 제한하는 등 관리를 철저히 해 미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 아래 사안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가 복도에 남아있던 물기에 넘어져 무릎뼈 골절 사고를 당한 사안이다. 병원 바닥 청소 물기에 넘어져 무릎뼈 골절 사고 A는 K 병원 피부과에서 발 사마귀를 제거하는 레이저 치료를 받고 나오던 중 병원 2층 복도 바닥에 남아 있던 물기에 미끄러져 넘어졌다. 이 때문에 A는 복도 철제 의자에 좌측 무릎이 부딪치는 사고를 당했고, 폐쇄성 무릎뼈 골절 상해를 입었다. A는 사고 직후 곧바로 K 병원 응급실에 .. 2023. 8. 1.
자궁근종 자궁경, 개복 무리한 수술 판단 기준 자궁근종 자궁경 이어 개복 무리한 수술 분쟁 임신을 고려하고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자궁근종 자궁경 수술은 자궁 안에 돌출되어 착상을 방해하는 점막 아래 근종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자궁근종 개복수술은 자궁 뒷벽과 앞벽에서 내막을 눌러 착상과 임신 유지를 방해하는 근종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아래 사안은 자궁근종으로 자연 임신이 어렵다는 진단에 따라 자궁경 수술과 개복 수술을 잇따라 받았는데 개복 수술 후 배액관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관이 끊어져 배 안에 남아있는 배액관을 제거하기 위해 개복 수술을 추가로 한 사례다. 이번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자궁경 수술을 한 지 1년도 경과하지 않은 시점에서 무리하게 개복수술을 했는지, 의료진이 개복 수술 후 배액관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한 것을 과실로 볼 수 있는 지다.. 2023. 7. 31.
안구 함몰 성형수술과 시력 저하 후유증 연관 안구 함몰 성형수술 후 시력 저하 소송 아래 사례는 과거 횡문근육종 수술을 받은 뒤 안구 함몰이 발생하자 성형수술을 한 뒤 시력이 크게 저하되었다며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의료진이 안구 함몰 성형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의료상 과실로 인해 시력 저하를 초래한 것인지, 수술에 앞서 환자에게 수술로 인해 시력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상세하게 설명했는 지다. 안구 함몰 교정 수술 후 시력저하 사건 A는 우측 상악골에 횡문근육종(근육에 생기는 종양)이 발생하자 절제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그런데 치료 과정에서 상악 뼈가 일부 제거되어 오른쪽 눈과 상악부가 움푹 들어가는 안구 함몰이 발생했다. A는 13년 후 안면 변형(안구 함몰)을 교정하기 위해 K 병원 성형외과에 내원.. 2023. 7. 30.
후종인대 골화증 척추수술 방법, 의사 과실 판단 후종인대 골화증 수술 방법과 의사 과실 판단 기준 후종인대 골화증은 척추뼈를 연결하는 인대인 후종인대가 비정상적으로 뼈처럼 굳어 딱딱해지는 골화가 되어 척추관을 지나는 척추 신경을 압박하면서 신경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수술 방법은 전방 접근법, 후방 접근법이 있다. 전방 접근법은 추체 적출술을 시행한 후 직접 골화 된 후종인대를 제거하거나 압박에서 떨어지게 한 후 해당 척추 분절을 유합 시키는 방법이다. 후종인대 골화증 점유율이 60% 이상, 후종인대 골화 모양이 뾰족한 경우, 후만증(척추가 뒤로 휘어진 것)이 있으면 추천되지만 후종인대 골화증이 여러 분절에 걸쳐 있을 때 시행하는 것은 위험하고 척수 손상 또는 경막 파열에 의한 뇌척수액 누출 위험이 있다. 후방 접근법은 주로 ‘3 분절’ 이상의 심.. 2023. 7.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