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추간판 탈출 디스크 수술 지연해 마미증후군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치료 지연해 마미증후군 초래 마미증후군은 추간판 탈출증이 악화되어 생길 수 있는 질환으로, 배변 장애와 같은 증상이 회복되기 어렵기 때문에 조기에 수술하는 것이 예후에 좋다. 이에 따라 24시간에서 48시간 이내 조기 수술이 권장된다. 환자가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한 배뇨장애 증상을 호소하고, 항문 주위 감각 저하가 관찰되면 의료진으로서는 MRI 검사 등 추가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면밀히 판독해야 한다. 의료진은 이를 통해 추간판 탈출증이 악화되어 마미증후군이 발생한 것인지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행위로 나아가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아래 사례는 추간판 탈출증이 악화되어 배변 장애 증상 등이 발생했음에도 수술을 지연해 마미증후군이 초래된 사안이다. 디스크 치료 지연해 배뇨 및 .. 2023. 7. 1.
맹장염 수술 후 사망했다면 의료사고 따져볼 점 맹장염 수술 후 심정지 사망 의료사고 쟁점 충수염(맹장염) 수술 직후 환자에게 심정지가 발생했다면 의료진의 과실로 인한 것인지를 가리기 위한 손해배상 소송으로 비화될 소지가 적지 않다. 이런 상황이라면 마취 과정이 적절했는지, 수술 과정에서 의료 과실이 없었는지, 심정지가 발생한 직후 응급처치 과정이 적절했는지, 수술에 앞서 설명의무를 충실히 이행했는지 등을 면밀히 검토한 후 대응해야 한다. 아래 사안은 맹장염 수술 직후 환자에게 심정지가 발생해 응급 처치했지만 사망에 이른 사안이다. 맹장염 수술 후 심정지 발생 사건 환자는 6월 8일 출근하던 중 복통을 느끼기 시작했는데 퇴근할 무렵에도 통증이 가라앉지 않자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피고 병원 의사는 환자의 증세와 내원 당시 촬영한 복부 CT 검사.. 2023. 6. 29.
축농증 수술 후 복시, 사시 등 시력 이상 발생 축농증 수술 집도의의 주의의무 부비동염(축농증) 수술을 하는 의사는 수술 과정에서 출혈, 감염, 통증, 시력 상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할 의무가 있다. 또한 수술에 앞서 수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내지 합병증을 설명해 환자가 수술을 받을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래 사례는 축농증 수술 과정에서 안와판을 손상해 재수술을 받았지만 두 눈에 복시, 왼 쪽 눈 사시가 발생한 사안이다. 축농증 수술 과정 부작용 발생 원고는 D병원에 입원해 이비인후과 전문의로부터 전신 마취를 한 뒤 내시경을 이용해 양쪽 부비동염(축농증) 수술을 받았다. 그런데 수술 도중 좌측 안와판(lamina papyracea, 눈이 들어가는 자리)이 손상되어 좌측 외사시(양쪽 눈의 시선이 동일한 목표를 향하지 않.. 2023. 6. 28.
척추관협착증 수술 후 마미총증후군 발생했다면? 척추관협착증 수술 후 하지 통증 등 마미총 증후군 발생 마미총은 제2 요추와 제5 요추 사이의 척추관 안에 존재하는 원추 이하의 요천추 신경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미총 증후군은 마미총이 기능을 다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마미총 증후군은 양측 하지 통증, 마비, 방광 기능 조절 장애 등의 후유증을 겪게 된다. 아래 사례는 척추관 협착증 진단 아래 추간판 절제 수술을 한 뒤 수술 부위에서 괴사가 발생해 변연절제술 및 근피 전진 피판술을 받은 뒤 마미총증후군이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성형외과 의료진이 변연절제술과 피판술을 하는 과정에서 경막을 손상해 마미총증후군이 발생했는지, 수술 이전에 설명의무를 충실히 이행했는 지다. 척추관 협착증 수술 경과 환자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류머티즘.. 2023. 6. 27.
광대 축소, 사각턱 수술 후 염증, 흉터, 비대칭 광대 축소술, 사각턱 수술하는 의사의 의무 광대 축소술, 사각턱 수술을 하는 성형외과 의사는 시술 과정에서 안면 신경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얼굴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수술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또 수술 후 염증이 발생한 경우 항생제를 처치하는 등의 관리 과정의 주의의무가 있으며, 수술에 앞서 수술 후 합병증이나 부자용 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해 환자가 성형수술을 받을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의무가 있다. 특히 성형수술을 하는 의사는 의뢰자가 자신의 외모에 대한 불만과 원하는 결과에 대해 충분히 경청한 후 의뢰인이 원하는 구체적 결과를 실현시킬 수 있는 시술법 등을 신중히 선택해 권유해야 한다. 이때 시술 방법, 시술 이후 외모가 어느 정도 바뀌는지, 발생이 예상되는 위험과 부작용 등에.. 2023. 6.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