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의료이야기341

임플란트 후 감각이상…치과와 웃으며 합의한 사연 임플란트 후 감각이상 분쟁 훈훈한 합의 사연 '안기자 의료판례' 블로그에는 임플란트 후 지각마비가 발생한 사연의 글이 여러 개 있다. 그러자 지난 5월 이 글을 읽으신 독자분이 2개의 판결문을 공유해 달라는 댓글을 올렸다. 자신의 아내가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뒤 마비 진단을 받았는데 ‘안기자 의료판례’에 올린 글과 상태가 유사해 해당 판결문을 참고해 의료분쟁을 해결하고 싶다는 사연이었다. 그래서 그분이 알려준 이메일로 판결문을 보내드린 적이 있다. ‘안기자 의료판례’ 티스토리 블로그는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의료사고와 같은 손해배상(의) 소송과 의료인과 관련한 면허 정지 및 취소 처분, 업무정지, 과징금, 환수 처분 등의 판결문을 정리해 포스팅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유사한 사연이 있거나 관련 업무를 하시는.. 2023. 7. 24.
전국 1등급 우수 요양병원 명단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평가는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입원환자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며, 국민들이 합리적으로 병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다. 심평원 시행 요양병원 적정성평가 결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6월 5일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2021년 시행한 2주기 3차 적정성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2021년도 2주기 3차 적정성평가는 전국의 모든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7~12월 입원 진료분을 평가했다. 요양병원 적정성평가 지표 평가지표를 보면 △구조(의사 1인당 환자 수, 간호사 1인당 환자 수, 약사 재직일수율) △진료 과정(유치도뇨관이 있는 환자분율, 치매환자 중 MMSE검사와 치매척도검사 실시 환자분율, 항정신성의약품 처방률) △진료 결과(전월 비교 5% 이상 체중 감소 .. 2023. 6. 7.
정부 선정 고혈압 진료 잘하는 전국 동네의원 고혈압은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심혈관, 뇌혈관 질환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만성질환은 일차의료기관에서 적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환자가 고혈압 관리를 잘하는 가까운 동네 의원을 선택해 지속적으로 관리받을 수 있도록 적정성 평가를 실시해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심평원, 고혈압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심평원은 2021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 1년간 고혈압 적정성 평가를 한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고혈압 적정성 평가는 △본태성(원발성) 고혈압 △고혈압성 심장병 △고혈압성 신장병 △고혈압성 심장 및 신장병으로 외래에서 혈압강하제를 원외 처방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고혈압 적정성 평가는 총 5개 지표를 .. 2023. 5. 31.
2023년도 요양병원 포함 진료비 본인부담상한액 2023년도 소득분위별 진료비 본인부담상한액이 확정되었다. 보건복지부가 3월 22일 발표한 2023년도 1~10분위 별 본인부담상한액을 보면 △1분위가 87만원 △2~3분위가 108만원 △4~5분위가 162만원 △6~7분위가 303만원 △8분위가 414만원 △9분위가 497만원 △10분위가 780만원이다. 2022년도 소득분위별 본인부담상한액을 보면 △1분위 83만원 △2~3분위 103만원 △4~5분위 155만원 △6~7분위 289만원 △8분위 360만원 △9분위 443만원 △10분위 598만원이었다. 2023년 본인부담상한액 특징 2023년도 본인부담상한액의 특징은 첫째 소득상위계층 상한액이 대폭 인상된다는 점이다. 소득 상위 30%에 해당하는 8~10분위 상한액이 연평균 소득의 10% 수준으로 대폭 .. 2023. 3. 23.
전국 최우수 노인요양시설 요양원, 그룹홈 명단 건강보험공단은 2023년 2월 28일 전국 노인요양시설(요양원,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그룹홈))에 대한 정기평가 결과를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http://www.longtermcare.or.kr)를 통해 공표했다. 이번 정기평가는 2021년 4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약 19개월간 실시한 결과다. 정기평가 결과 전체 5,246개 기관 중 최우수(A등급)는 760개(17.2%), 우수(B등급)는 1,210개(27.4%)였고, 최하위 E등급은 687개(15.5%)였다. 모든 A등급 노인요양시설에는 최우수기관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표지물(평가연도, 기관명칭, 시설규모, 평가등급)을 배포한다. 1. 주요 평가지표(노인요양시설) (1) 노인요양시설 운영 관련 평가지표 △인력 기준 준수 △2년 이상 근무.. 2023. 3.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