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과관찰소홀5

퇴행성 관절염 인공관절 수술후 패혈증 사망 퇴행성 관절염 인공관절 수술후 패혈증 사망 이번 사건은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공슬관절치환술을 받은 환자가 며칠 후 패혈증으로 사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수술후 감염 여부를 조기진단할 주의의무를 위반했는지, 요양병원이 경과관찰을 소홀히 했는지 입니다. 사건의 개요 환자는 걷기 힘들 정도로 무릎 통증이 심해지자 이를 치료하기 위해 피고 A병원에서 진료한 결과 양측 퇴행성 관절염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기로 했습니다. 의료진은 우측 무릎에 대해 인공슬관절치환술을 하고, 일주일 후 좌측 무릎에 대해 인공슬관절치환술을 했습니다. 의료진은 수술 6일 후 농뇨소견으로 감염내과에 협진을 의뢰한 결과를 토대로 항생제를 유지할 필요 없이 퇴원이 가능하다고 판단해 K요양병원으로 전원시켰습니다. 환자는 퇴원 후 피고 요양.. 2021. 4. 22.
뇌경색에 혈전용해술 후 혈관중재술 적기를 놓친 과실 뇌경색 소견에 대해 혈전용해제를 사용한 다음날 내경동맥 및 중대뇌동맥 완전폐색에 의한 뇌경색으로 증상이 악화되어 상급병원으로 전원했지만 편마비 등으로 뇌병변장애, 시각장애를 초래한 사건. 혈전용해술 후 추적검사를 통해 적기에 혈관중재술을 시행했어야 하는지가 이 사건의 쟁점이다. K병원에서의 진료 경위 A는 소주를 마시고 침대에 누워있던 중 갑자기 말이 어눌해지고 입이 오른쪽으로 돌아가며 왼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을 호소해 119구급차를 통해 K병원 응급실로 이송되었다. 의료진은 즉시 신경학적 및 이학적 검사를 시행했고, 당시 환자의 의식은 명료하고 안면 및 좌측마비, 구음장애 등을 소견이 있었다. 뇌CT 검사에서는 우측 중대뇌동맥부 뇌경색 소견이 나왔다. 이에 의료진은 A의 배우자에게 혈전용해제 사.. 2020. 6. 20.
퇴원 전 검사 및 경과관찰 소홀 의료과실로 환자 사망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환자가 퇴원 직후 사망한 사건. 법원은 해당 병원이 수술후 경과관찰상 과실이 있다고 판단했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소, 2심 원고 일부 승소 사건의 개요 환자는 건강검진을 위해 내시경검사를 받은 결과 팽대부 종양이 발견되자 피고 병원에 입원했다. 환자는 피고 병원에서 유문보존 췌십이지장절제술을 받았다. 수술후 시행한 CT 검사에서 간과 췌장 문합부 주변에 소실된 액체가 고여 있었고, 임상 양상과 병합해 그 원인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는 소견을 보였다. 환자는 수술 1주일 뒤 미음을 섭취했고, 그 다음날부터 죽을 섭취하였지만 복부 불편감이나 통증을 호소하지 않았다. 그리고 수술 10일 후 퇴원했다. 환자는 퇴원한 지 이틀 뒤 의식을 소실해 사망했다. 부검 결과 담즙이.. 2020. 2. 26.
소파수술 후 의식저하로 사망…마취제 투여후 경과관찰 소홀 과실 프로포폴은 마취약제이므로 약물 투여 후 무호흡, 호흡저하, 저산소증, 저혈압 등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프로포폴을 사용하여 환자를 마취하는 의사는 약물 투여 후 작용이 지속되는 동안 환자의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 호흡 여부 등을 관찰해야 한다. 또 수술이 끝난 다음에는 환자가 마취에서 완전히 회복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수술자극이 사라짐에 따라 잔존 마취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적어도 수술 후 30분 정도는 환자를 집중관찰해야 한다. 이번 사건은 잔류태반으로 확인돼 소파수술을 받은 뒤 의식저하로 사망…마취제 투여후 경과관찰 소홀한 과실을 다룬 사례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체외 수정을 통해 임신하였으나 계류유산(당시 임신 9주 3일)으로 소파수술을.. 2019. 1. 7.
뇌경색 환자 경과관찰 소홀로 편마비, 뇌병변 뇌경색에 대해 혈전용해제를 투여한 이후 경과관찰을 소홀히 한 과실 사건명: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소주를 마시고 침대에 누워있던 중 갑자기 말이 어눌해지고 입이 오른쪽으로 돌아가며 왼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을 호소해 피고 병원 응급실로 이송됐다. 피고 병원이 뇌 CT 검사를 한 결과 우측 중대뇌동맥부 뇌경색 소견이 나왔고, 혈전용해제를 투여했다. 그리고 다음날 뇌 MRI 검사에서는 우측 내경동맥 및 중대뇌동맥 완전폐색에 의한 뇌경색 소견이 나와 다른 대학병원으로 전원시켰다. 원고는 응급 두개골절재술과 재활치료를 받았지만 좌측 편마비, 좌측 편측무시 상태로 도수근력은 제로 등급에서 푸어(POOR) 등급으로 저하되어 있으며,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상태이다. 1심 법원의 .. 2017. 4.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