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과관찰23 디스크 신경유착박리술 후 심각한 부작용 있다면 디스크 증상과 신경유착박리 시술 의사의 책무 신경유착박리술 후 비정상적인 통증과 하반신 마비 증세가 발생하면 시간적으로 긴급하게 치료해야 한다. 그러므로 의료진으로서는 합병증 발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신속하게 척추 MRI 검사를 시행하거나 검사가 가능한 의료기간으로 신속하게 전원 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신경이상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정밀검사 등 가능한 조치들을 지체 없이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 발생 후 몇 시간 이내에 수술을 하면 증상이 회복되는 이른바 수술적 골든타임을 규정하는 것은 실제 임상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반영할 수 없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술이 필요한 시간은 달라질 수 있다. 아래 사안은 목 디스크(추간판 탈출증) 진단 아래 신경유착박리술을 받은 직후 혈종이 발생해 수술을 받.. 2023. 6. 13. 뇌수막종 수술 후유장해와 의사 과실 뇌수막종 수술 직후 뇌출혈, 부종 등이 발생해 재수술을 했지만 환자가 뇌손상으로 언어장애, 전신마비, 인지장애 등의 후유장해 상태를 보인다면 어떤 기준으로 의료진에게 과실 여부를 판단할까? 뇌수막종 수술 후유장해 방지를 위한 의사의 책무 뇌수막종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수막에서 발생한 종양을 의미한다. 뇌수막종을 진단, 수술, 수술 후 경과관찰하는 의사는 환자에게 후유장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아래와 같은 주의의무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 (1) 치료방법 선택 주의의무 뇌수막종 수술을 하는 의사는 안전성과 치료효과가 입증된 최선의 수술방법을 선택해야 하며, 부작용 위험이 높은 수술을 선택해선 안 된다. (2) 수술과정의 주의의무 이행 뇌수막종 수술을 하는 의사는 수술 과정에서 혈관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2023. 5. 11. 난소 낭종 증상과 수술후 복막염 발생 피고 병원 내원 경위 원고는 자궁내막증 진단을 받고 피고 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했다. 원고는 당시 의사에게 자궁내막증 약을 복용하고 있으며, 통증이 있고, 최근 갑상선암 수술을 받은 전력이 있다고 말했다. 피고 병원 의료진은 원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검사 등을 실시했다. 그리고 자궁내막증으로 의심되는 양측 난소의 낭종 소견에 대해 수술을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난소 낭종 증상과 치료 난소에 발생하는 낭성 종양을 의미하며, 내부가 수액 성분으로 차 있는 물혹을 의미한다. 이는 배관과 관련해 발생하는 기능성 난소 낭종과 양성 난소 신생물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양성 난소 신생물(혹)은 자궁내막종, 기형종, 장액성 또는 점액성 난소 낭종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난소 낭종 증상은 복부 팽만과 불편감, 복통.. 2021. 10. 8. 길랑바레증후군 증상과 의료진의 치료 과실 독감백신 접종 및 입원 원고는 의원에서 독감 예방접종을 받은 후 기침, 열, 두통, 쇠약감이 발생했고, 상기도 염증 등 호흡기질환으로 인근 병원에서 수차례 치료를 받았다. 원고는 약 한달 후 팔, 다리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 증상, 사지 위약감으로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해 다음 날 내과 외래 진료를 받은 뒤 입원하게 되었다. 길랑바레 증후군 진단 원고는 ‘혀가 싸하면서 말이 잘 나오지 않는다’며 구음장애를 호소하면서 배뇨장애 증상도 나타냈다. 또 양쪽 다리에 힘이 안 들아가며 얼굴 찡그림이 안되는 등 마비 증상을 호소하기도 했다. 의료진은 신경과 협진을 해 같은 날 뇌MRI 검사를 실시해 길랑-바레 증후군으로 추정 진단하고, 확진을 위해 신경전도검사, 척추천자검사 등도 시행했다. 길랑-바레 증후군 증상과.. 2021. 10. 7. 분만 의료사고 나자 진료기록부 위조 이번 사건은 평소 산전진찰 하던 산부인과에 입원해 자연분만했지만 분만 직후 신생아가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으로 안타깝게도 사망한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산부인과에서 진료기록지(간호기록지)를 위조 및 행사했는지, 옥시토신 투여 과정에서 과실이 있었는지, 의사가 경과관찰 주의의무를 이행했는지 등입니다. 기초 사실 원고는 임신 사실을 확인한 후 피고 산부인과의원에서 꾸준히 산전검사를 받아왔고, 특별히 산모와 태아에게 이상증상은 없었습니다. 원고는 복부에 진통을 느끼고, 오전 6시 피고 병원에 내원했습니다. 당시 야간 근무조로 근무중이던 간호사 H의 안내로 바로 입원했습니다. 분만하는 의사의 주의의무 분만을 담당하는 의사는 아래와 같은 주의의무가 있다고 할 것입니다. 1. 의사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직접.. 2021. 8. 26.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