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도삽관15

게실염 환자 복막염 진단 지연, 기도 삽관 실패 게실염 합병증, 복막염 및 기도 삽관 지연 사건 대장 게실염 의심 환자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 복막염이 발생해 패혈증으로 사망했다면 진료 과정에서 어떤 과실이 있었던 것일까? 게실(diverticulum)이란 위, 소장, 대장, 담낭, 방광 등의 장기 바깥쪽으로 돌출한 비정상적인 작은 주머니다. 대장에 발생한 게실을 대장 게실이라고 한다. 이 주머니 쪽에 염증이 생긴 것을 게실염이라고 한다. 특히 S상 결장 부위 게실에 발생하는 천공은 대장 게실 안의 압력 증가 또는 대장 내 압력 증가가 주요 원인이다. 대장게실염이 진행하면 미세 천공이나 천공이 발생해 염증이 주위 조직으로 퍼져 나가게 되는데 합병증으로 농양, 천공, 장폐색, 장루 형성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대장 게실염의 합병증인 천공은 대장 게실.. 2023. 11. 24.
신생아 뇌손상 발생했다면 따져볼 점 분만 후 신생아 뇌손상 의료분쟁 쟁점은? 아래 사례는 분만 직후 신생아가 자발호흡이 없자 기도삽관을 한 뒤 상급병원으로 전원 했지만 저산소성 뇌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이런 상황이라면 분만을 하기 전에 의료진이 산모와 태아에 대한 경과 관찰을 잘했는지, 조기에 분만을 유도해야 할 상황은 아니었는지, 신생아에게 기도삽관 한 뒤 환기가 잘되고 있는지 확인했는지, 분만에 앞서 설명의무를 성실히 이행했는지 등을 따져볼 수 있다. 신생아 뇌손상 사건 원고는 임신 40주 6일째인 2월 18일 양막파수가 발생해 피고 병원에 입원했고, 의료진은 전자 태아 감시장치(NST)를 사용해 태아 심장박동 수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했다. 의료진은 2월 19일 자연 진통이 없자 태아심박동 수를 모니터링하면서 유도분만을 시행해 오후 2.. 2023. 6. 12.
갑상선암, 임파선 전이 수술 후 사지마비 갑상선암 및 임파선 전이 진단 원고는 양측 갑상선 부위에 딱딱한 종양이 만져지는 증상으로 피고 병원에 내원해 검사를 받은 결과 갑상선 유두암 및 경부(목 부위) 임파선 전이로 진단 받았다. 이에 피고 의사는 원고에 대해 갑상선 전절제술 및 좌측 경부 변형 근치적 임파곽청술 1차 수술을 시행했다. 1차 수술 후 우징 및 출혈 발생 그런데 1차 수술 다음 날 수술부위에서 광범위하게 피가 스며나오는 우징(oozing) 증상과 헤모박에 심한 출혈 증상이 나타났다. 이후로도 이런 출혈 증상이 계속되었고, 호흡곤란과 목 부위 통증이 발생한 데 이어 좌측 목에 부종이 발생했다. 여기에다 안면부와 사지말단부위에 청색증까지 나타났다. 이에 피고 병원 의사는 기도삽관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마취과 의사가 재시도해 기도삽관.. 2022. 5. 20.
기도삽관 잘못한 과실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소아 환자가 병원에서 급성편도염 진단 아래 항생제를 투여한 직후 의식을 잃어 심장마사지, 기도삽관 등의 조치를 했지만 저산소뇌병증 등으로 사망한 안타까운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해당 병원이 항생제 과민성에 대해 사전 진단하지 않은 과실이 있는지, 항생제 주사방식과 경과관찰 과정에서 과실이 있는지, 시도삽관을 잘못한 과실이 있는지 등입니다. 환자의 치료 경위 소아인 환자는 지속적으로 열이 나자 피고 병원에 내원했는데요. 피고 병원 소아과의사는 상세불명의 급성편도염으로 진단하고 환자를 입원 조치했습니다. 그리고 오후 2시 48분 경 생리식염수, 항생제인 후루마린 등을 주사했습니다. 의식을 잃은 환자 그런데 환자는 2시 49분경 호흡곤란, 청색증 등의 증세를 보이면서 의식을 잃었습.. 2021. 9. 24.
사고로 인한 골절, 폐좌상 환자 골절수술 시작 직후 심정지 사고로 골절, 흉막하 무기폐와 폐좌상 등을 당한 환자에 대해 골절수술을 위해 국소마취제와 진정제를 투여한 직후 심정지로 뇌손상과 뇌부종이 발생해 사망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사건의 개요 F는 오토바이를 운전하던 중 곡선도로에서 넘어지면서 옹벽에 부딪혀 119 구조대를 통해 G병원 응급실로 이송되었다. 병원 의료진은 검사 결과 우측 상부 경골관절구와 비골 복합골절 및 좌측 상황골 골절, 흉막하 무기폐와 폐좌상 외에도 백혈구 증가증, 신장기능 이상, 간 기능 이상, 호흡성 알칼리즈, 대사성 산증, 고혈당증, 저산소증 등을 확인했다. 이에 진통제와 항생제를 투여하고 산소를 공급한 후 입원해 골절수술을 받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F와 환자 아버지는 연고지에 가까운 .. 2020.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