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도폐쇄13 급성후두개염 증상과 호흡곤란 기도폐쇄 급성후두개염 환자가 알아야 할 응급처치 급성후두개염(acute epiglottitis) 증상은 급성 인후두염에 비해 심한 증상을 호소한다, 즉, 발열, 점점 심해지는 목의 통증 및 음식 삼키기 어려움, 마치 뜨거운 감자를 입에 물고 있는 것처럼 웅얼거리는 목소리 변화, 호흡곤란 등을 호소한다. 급성후두개염은 기도폐쇄에 이르게 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아래 사례는 급성후두개염 진단 아래 기도폐쇄가 있다고 판단해 윤상갑상막절개술을 시행했지만 항생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지 않고, 경과관찰을 소홀히 해 환자가 사망에 이른 사안이다. 급성후두개염 응급처치 소홀 사례 오한을 느끼고, 침 삼키기가 어렵다는 증상을 호소했지만 열은 없었던 A 씨. A는 응급실에 내원해 경부 CT 촬영을 한 뒤 호흡곤란 증상을 보였지.. 2024. 1. 31. 급성후두개염, 혈관부종으로 기도폐쇄 급성 후두개염, 혈관부종 증상 급성 후두개염(acute epiglottitis)은 급성 인후두염에 비해 심한 증상을 호소한다. 즉, 발열, 점점 심해지는 목의 통증 및 음식을 삼키기 어려움, 마치 뜨거운 감자를 입에 물고 있는 것처럼 웅얼거리는 목소리, 호흡 곤란 등이 주요 증상이다. 급성 후두개염은 기도폐쇄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혈관부종은 피하, 점막에 발생하는 일종의 알레르기 반응으로 후두부에 발생하면 급격한 후두 점막 부종을 유발해 기도 폐쇄에 이를 수 있다. 아래 사례는 새우 껍질이 목에 걸린 뒤 통증, 목소리 변화 등이 발생해 병원에서 호흡 곤란 증상을 보이다가 급성 후두개염, 혈관부종으로 뇌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급성 후두개염 기도폐쇄 사건 A는 새우를 먹다가 새우 껍질이 목에 걸린 뒤 .. 2023. 11. 9. 금식 안하고 지방종 수술했다가 심정지 지방종수술 후 심정지 발생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환자가 지방종 진단 당일 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심정지가 발생해 상급병원으로 전원 했지만 저산소성 뇌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첫 번째 쟁점은 의료진이 수술을 하기 전에 환자가 금식을 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할 주의의무를 준수했는지 여부다. 또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마취를 시행했는지, 의료진이 수술 과정에서 환자의 활력징후를 관찰할 의무를 준수했는지, 응급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했는지 여부도 사건의 쟁점이다. 지방종제거 수술 후 심정지 사건의 개요 환자는 등 위쪽(upper back)의 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피고 의원에 내원했고, 초음파검사 결과 피하지방의 종양이 확인되었다. 이에 환자는 사정이 있어 내원 당일 지방종 제거수술을 하기로 했다. 피고 의.. 2022. 9. 15. 조현병환자 기도폐쇄사건…항정약 과다투여도 쟁점 조현병환자 음식물로 인한 기도폐쇄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조현병으로 폐쇄병동에 입원중이던 환자가 초코파이를 먹고 얼마 지나지 않아 심정지가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가 초코파이를 먹은 뒤 비상벨을 누르고, 제자리에서 발을 구르는 등의 행동을 하는 등 음식물로 인한 기도폐쇄 의심 증상을 보인 상황에서 병원 의료진이 적절하게 대처했는지 여부다. 또 하나의 쟁점은 피고 병원이 환자에게 조현병 치료제인 항정신병약제 ‘올란자핀(자이프렉사)를 점차 증량해 권장용량을 초과했고, 이로 인한 부작용으로 환자가 사망에 이르렀는지 여부다. 조현병으로 피고 병원 입원 환자는 조현병을 앓고 있어 여러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았고, 그 증상이 다시 악화되자 피고 병원 일반병실에 입원해 치료를 받았다. 그러다가 약 두 .. 2022. 8. 14. 기도폐쇄를 열성경련으로 알고 응급처치 지연 기도폐쇄 대처 지연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기도폐쇄로 인해 저산소증이 생긴 경우 폐쇄가 된 원인을 환자 스스로 해결할 수 없다면 즉시 석션(흡인) 혹은 하임리히법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개구개를 삽입하며 필요한 경우 기도삽관을 통해 기도를 확보해야 한다. 소아의 식도역류로 인한 기도폐쇄는 산소 흡입을 감소시키고, 청색증을 일으키며, 뇌의 산소공급을 저하시킨다. 이물질 제거와 산소공급이 늦어지면 소아의 산소포화도가 급격하게 감소해 조직으로의 산소 전달이 감소되며 이는 곧 쇼크로 이어져 뇌손상의 위험이 높아진다.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폐렴 및 세기관지염으로 병원에 입원한 소아가 해열제 복용 직후 기도폐쇄로 인해 구토, 청색증 등이 발생한 상황에서 의료진이 적절한 응급조치를 했는지 여부가 쟁점이다. 폐렴, .. 2022. 7. 28.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