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내시경검사8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내시경검사 유의할 점 위 또는 대장 내시경검사를 하는 의료기관은 진정제, 마취제를 적절한 용량으로 사용하고, 검사 과정에서 청색증 등의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적절한 조치와 전원 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환자가 고혈압이나 비만 등의 기저질환이 있으면 심전도 검사나 기도 확보 평가 등의 사전 검사를 철저히 해 응급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아래 사건은 내시경검사 직후 응급상황이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개요환자 J는 G 내과의원에서 2월 23일 위내시경, 대장내시경을 받던 중 청색증을 보이며, 심정지가 발생해 사망했다.   환자의 가족들은 내과의원이 진정제와 마취제를 부적절하게 사용했으며, 응급상황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사망했다고 주장하며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이번 민사.. 2024. 10. 23.
고령, 고혈압 있다면 내시경검사 전 주의할 점 내시경검사 과정 응급상황 발생 사례 P는 9월 14일 F 내과의원에서 대장내시경 시술을 받던 중 대장천공이 발생해 곧바로 G 병원으로 이송되어 복강경으로 봉합하는 수술을 받았고, 수술 직후 급성 합병증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자 퇴원했다. P는 9월 19일 좌측 사타구니(서혜부)에서 장폐색을 동반한 탈장이 발생했다. 장폐색은 장기 특히 소장이 완전히 막혀 음식물 등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그런데 9월 23일에는 사타구니 부위 탈장이 재발한데 이어 장폐색, 흡인성 폐렴, 심정지 등으로 악화되어 심폐소생술을 받고 중환자실 치료를 받았지만 안타깝게도 며칠 뒤 사망하고 말았다. G 병원이 작성한 사망진단서에는 대장 천공에 의한 복막염, 복막염에 의한 복압 증가로 인한 장 유착 및 탈장, 이로 인한 장폐색, 흡.. 2024. 3. 29.
내시경 검사 후 고열, 복통과 장 천공, 복막염 대장 내시경 검사 과정 천공 발생했다면 대장 내시경 검사는 대장과 직장 질환의 진단, 치료 및 추적 관찰에 가장 유용한 검사 방법이다. 하지만 드물게 천공,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중 대장 천공은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보이는 심각한 합병증이다. 실제 대장 내시경 검사 과정에서 천공이 발생해 응급 처치를 했지만 봉합 부위가 터지는 바람에 복막염이 발생해 장루 조성술까지 받는 사례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대장 내시경 검사를 하는 의사가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가. 천공 내지 출혈 방지 의무 내시경 검사를 하는 의사는 검사 과정에서 천공이나 출혈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대장암 수술을 한 환자라고 하더라도 내시경 전문의가 검사하면 대부분 문제없이 추적 내시경 검사를.. 2024. 1. 10.
위장관 출혈 증상과 내시경 검사 및 치료 위장관 출혈 증상과 의사 주의할 점 상부 위장관 출혈이 발생한 경우 수혈과 수액 공급, 내시경검사 등의 조치를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의료적 처치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뇌손상이 발생하거나 심하면 식물인간이 될 수도 있다. 위장관 출혈의 증상은 무엇이고, 어떻게 치료하며, 환자에게 부작용이나 후유증을 남기지 않거나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소장, 대장 등 위장관 부위에서 출혈이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장관 출혈 발생 원인으로는 위, 십이지장 궤장을 포함한 소화성 궤양이 가장 흔해 전체의 약 50~60%를 차지한다. 또 미란성 위염, 식도염, 십이지장염이 전체의 약 15%, 그 밖에 식도 정맥류와 위 정맥류, 기.. 2023. 12. 2.
대장내시경검사 중 환자 사망 초래한 의사 대장내시경검사 의료사고의 쟁점 이번 사건은 고령의 환자를 대상으로 대장내시경검사와 용종절제술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대장에 천공을 초래해 응급처치를 했지만 심정지를 초래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해당 의사가 내시경기구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대장 내벽에 상처를 입히지 않아야 할 주의의무를 위반했는지, 천공이 발생한 이후 환자의 활력징후 등을 면밀히 관찰해야 할 주의의무를 위반했는지 여부다. 대장내시경검사 도중 천공 발생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D의원에서 내과 전문의로 근무하던 중 피해자 E를 상대로 대장내시경검사와 용종 절제술을 시행하게 되었다. 당시 피해자는 73세의 노인으로 상대적으로 혈압이 높고 신체조건이 노쇠한 상태였다. 노인 상대 내시경검사 시술 의사의 주의의무 고령자를 대상으로 대장내시경검사 및 용종.. 2022.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