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앰부배깅17 호흡곤란 폐렴환자 기관내삽관 지연한 과실 호흡곤란, 기침 등 호소하며 피고 병원 내원 원고는 과거 폐결핵 진단을 받고 완치 판정을 받은 바 있고, 교통사고를 당해 식도 부위가 손상되었고, 식도 확장술을 받은 병력이 있다. 원고는 6월 26일 호흡곤란, 가래, 기침 증상과 등 부위 통증이 있었는데 통증이 심해지자 119구급차를 이용해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원고는 오후 6시 5분에 피고 병원 응급실에 도착해 경도의 호흡곤란과 좌측 흉부 통증을 호소했고, 의료진은 오후 7시 37분 경 흉부 엑스레이 검사 등을 시행했다. 폐렴 진단 아래 입원 의료진은 검사 결과를 토대로 좌측 흉막삼출증(폐렴에 의해 생기는 흉막삼출), 좌측 폐렴(지역사회 획득폐렴) 등으로 진단하고 항생제를 처방한 뒤 일반 병실로 옮겼다. 당일 원고는 지속적으로 흉통과 옆구리 .. 2022. 2. 6. 전치태반 산모 분만중 호흡곤란으로 제왕절개수술한 뒤 신생아 뇌손상 전치태반 산모 자연분만 도중 호흡곤란 등으로 제왕절개수술로 분만했지만 신생아 뇌손상 이번 사건은 전치태반인 산모가 자연분만(질식분만)을 시도하던 중 호흡곤란 증상으로 응급 제왕절개수술로 분만했지만 신생아가 허혈성 뇌손상을 입은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임신 31주 6일째부터 전치태반으로 피고 산부인과에서 진료를 받기 시작했는데요. 전치태반이란 태반이 자궁 경관(internal os)을 일부 또는 완전히 덮고 있는 경우를 말하며, 자궁 하절부가 형성되고 자궁 출구가 열리게 되면 혈관이 파열되어 출혈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원고는 임신 39주 6일째 질 출혈 증상으로 피고 병원 응급실에 입원했는데, 의료진은 자연분만(질식분만)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의료진은 오전 8시 20분 경 원고에게 .. 2020. 12. 31. 신생아 청색증 경과관찰 소홀해 뇌손상으로 뇌성마비 기관내삽관을 할 때에는 환자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튜브를 적절한 깊이까지 삽입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튜브가 너무 작으면 산소가 새 충분한 양의 환기를 하지 못하고 저산소증과 과이산화탄소혈증을 초래할 수 있다. 반면 튜브가 너무 크면 후두 손상, 부종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사진: pixabay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현성 당뇨병으로 임신 전부터 당뇨 치료를 받아왔던 원고는 임신 38주째 양막이 파열돼 피고 병원에 입원했다. 의료진은 태아가 후방후두위 상태인 것을 확인하고, 질식분만을 시도했는데 태아의 머리는 잘 나왔지만 어깨가 산모의 골반 안에 걸려 잘 나오지 않는 견갑난산이 발생하자 맥로버트 수기법으로 체중 3.9kg의 원고 A를 분만했다. 의.. 2019. 1. 31. 신생아 기관삽관 의료과실로 뇌성마비 초래 기관삽관을 할 때에는 환자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튜브를 적절한 깊이까지 삽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원고는 분만을 위해 피고 병원에 입원해 무통분만을 위한 경막외마취를 하고 분만 2기에 접어들었는데 그 무렵 고열이 나고 태아빈맥 소견을 보이자 의료진은 수액 및 산소공급, 얼음주머니 등의 조치를 취했지만 약 8분간 지속성 태아심박동감소가 확인되자 흡입분만기가 있는 분만실로 이동했다. 의료진은 2차례 질식분만을 시도했지만 태아하강이 이뤄지지 않고 태아심박동수가 불안정하자 응급제왕절개수술을 했다. 신생아인 원고 A는 출생 직후 스스로 울지 않고 자발호흡이 없었으며, 청색증을 보였고, 의료진은 기도삽관 및 앰부배깅을 시행한 뒤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인공호흡기 치.. 2018. 12. 21. 크룹, 급성 세기관지염 환자에게 응급조치 지연한 과실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8. 11. 30.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