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현병8 환청, 망상 심한 조현병 환자의 자살 위험 조현병(정신분열병)은 대개 25세 이전에 발병해 평생 유지되며 개인의 모든 사회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조현병은 대표적인 중증 정신질환으로 환각과 망상을 포함한 정신병적 증상을 보인다. 이 두 가지 증상을 보이는 환자는 자신과 외부세계 간의 경계가 상실되어 혼란에 빠지며, 자신의 사고와 자각과 실제 세계에서 관찰되는 것 사이를 구별할 수 없게 된다. 급성기 조현병 환자를 치료할 때 자살 위험이 있는 경우, 외래치료가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 등에는 입원을 고려할 수 있다. 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생각이 자살 충동으로 이어지는 등 조현병 환자의 5~10%가 자살로 사망하고, 약 20~40%는 자살 시도 경험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미래에 대한 비관적인 생각이 자살 충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특히 병전기.. 2024. 6. 17. 조현병환자 기도폐쇄사건…항정약 과다투여도 쟁점 조현병환자 음식물로 인한 기도폐쇄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조현병으로 폐쇄병동에 입원중이던 환자가 초코파이를 먹고 얼마 지나지 않아 심정지가 발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가 초코파이를 먹은 뒤 비상벨을 누르고, 제자리에서 발을 구르는 등의 행동을 하는 등 음식물로 인한 기도폐쇄 의심 증상을 보인 상황에서 병원 의료진이 적절하게 대처했는지 여부다. 또 하나의 쟁점은 피고 병원이 환자에게 조현병 치료제인 항정신병약제 ‘올란자핀(자이프렉사)를 점차 증량해 권장용량을 초과했고, 이로 인한 부작용으로 환자가 사망에 이르렀는지 여부다. 조현병으로 피고 병원 입원 환자는 조현병을 앓고 있어 여러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았고, 그 증상이 다시 악화되자 피고 병원 일반병실에 입원해 치료를 받았다. 그러다가 약 두 .. 2022. 8. 14. 항정약 클로자핀 부작용 사건 원고의 2015년 진료 내용 원고는 2015년 8월 혼잣말, 불면, 이상행동 등의 정신병적 증상을 보여 G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G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진은 정신병적 장애(psychotic disdoder)로 진단하고, 보호병동에 입원하도록 한 뒤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인 팔리페리돈(paliperidone) 등을 투약하고, 증상이 조절되자 퇴원하도록 했다. 2016년 조현병으로 재입원 원고는 2016년 8월 정신병적 증상이 재발해 G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에 재입원해 조현병(Schizophrenia)으로 진단받았다. 원고는 기존 입원치료를 할 때 효과가 있었던 팔리페리돈 주사를 맞기 시작했는데 약 1개월 간격으로 100mg 또는 150mg 정도를 투약했다. 의료진은 팔리페리돈으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 2021. 12. 9. 조현병환자 격리, 강박 지침 위배사건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조현병 환자가 정신의료기관에서 입원치료를 받던 중 격리 및 강박치료를 받던 직후 폐동맥혈전색전증으 로 사망한 안타까운 사례입니다. 사건의 쟁점은 해당 의료기관이 격리 및 억제대를 사용해 강박하던 중 지침을 위반했는지, 혈전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는지 여부입니다. 아울러 강박을 하기 전에 환자 또는 환자보호자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았는지 여부도 쟁점입니다. 환자의 피고 정신병원 내원 경위 환자는 조현병(정신분열병)으로 피고 병원에 약 3개월간 입원해 약물치료를 받고 증상이 호전되자 퇴원했습니다. 환자는 4년 뒤 다시 조현병으로 피고 병원에 입원해 약물치료를 받은 뒤 3개월 후 퇴원했습니다. 이처럼 환자는 조현병으로 피고 병원 입퇴원을 반복했고, 클로자핀 투여량을 .. 2021. 9. 16. 식이장애, 조현병 환자 빵 섭취중 기도폐색 질식 식이장애, 조현병 환자 빵 섭취중 기도폐색 질식 이번 사건은 식이장애와 조현병이 있어 정신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카스테라 빵을 빠르게 섭취한 뒤 기도폐색으로 질식사한 사례입니다. 이에 대해 법원은 병원 의료진에게 관찰, 감독할 의무를 위반한 과실이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사건의 개요 A씨는 군 생활을 하던 중 분대원들의 구타로 인해 조현병이 발병해 의병전역했는데요. 그 후 여러 병원에서 조현병 치료를 받았습니다. 그는 장기간의 입원치료에도 불구하고 망상, 환청 등이 계속 되었습니다. 그는 이 사건 K병원에 입원해 병원에서 간식으로 제공한 카스테라 빵이 목에 걸려 컥컥대는 것을 병원 간호사가 발견했습니다. 그러자 간호사는 즉시 하임리히법을 시행하고 당직의사를 호출했습니다. 하임리히법은 기도가 이물질로 인해 폐.. 2021. 3. 13.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