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기자 의료판례

조혈모세포 채집후 중심정맥관 제거 과정 심정지…공기색전증이 쟁점

by dha826 2017. 11. 27.
반응형

호지킨씨 림프종 환자에게 조혈모세포 채집술후 중심정맥관 제거 과정에서 호흡곤란, 발작후 심정지, 공기색전증 여부가 쟁점.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항소 기각, 대법원 상고 기각

 

 

기초사실
환자는 호지킨씨 림프종 환자로 피고 병원에서 조혈모세포 채집을 위해 항암제 치료를 받았다.

 

의료진은 오른쪽 목 내경정맥에 삽입된 카테터(중심정맥관)를 이용해 말초혈액 조혈모세포 채집술을 시행했다.

 

그후 의료진은 환자의 오른쪽 목 내경정맥에 삽입돼 있던 중심정맥관을 제거하기 위해 왼손으로 정맥관 삽입부에 거즈를 대고 압박하면서 오른손으로 중심정맥관을 제거했다.

 

의료진은 왼손으로 정맥관 제거부위를 압박하면서 오른손으로 제거부위 윗부분의 실밥제거 부위를 소독한 후 압박을 지속했는데 몇 초 후 환자의 몸에서 힘이 빠지고, 호흡이 곤란해지며, 청색증이 나타났다.

 

이에 다른 의료진의 도움을 요청한 뒤 환자는 발작증세를 보였고, 의료진이 약 2시간 동안 심폐소생술을 했지만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원고의 주장
의료진은 환자의 머리를 낮게 하고 눕힌 자세(트렌델렌버스 자세)가 아니라 앉아있는 자세에서 중심정맥관을 제거하였는데, 그 직후 환자의 왼쪽 팔에 경련이 나타나고, 호흡정지가 확인되었다.

 

이는 환자의 우측 내경정맥에 주입된 공기가 역행성으로 뇌로 주입되어 유발된 것이다. 즉 공기색전증이 발생한 것이다.

 

법원의 판단
비단 공기색전증뿐만 아니라 다른 원인으로 심정지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지경직이 나타날 수 있고, 왼쪽 팔의 경련이 발생하였다는 이유만으로 위 경련의 원인이 역행성 뇌 공기색전증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이 사건 시술로 환자에게 공기색전증이 발생했다고 보기 어렵다.

 
또 의료진이 환자에게 트렌텔렌버그 자세를 취하도록 하지 않고 비스듬히 누워있는 자세에서 중심정맥관을 제거했다는 점만으로 술기상 과실이 있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판례번호: 1심 103009번(2012가합619**)

판결문 받으실 분은 댓글 또는 비밀댓글에 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세요.

공기색전증[Air embolism ]

기포가 동맥이나 정맥을 따라 순환하다 혈관을 막는 것을 공기색전증(air embolism) 이라고 하며 뇌로 올라가 뇌혈관을 막는다면 뇌 공기색전증(cerebral air embolism)이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