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기자 의료판례

경동맥협착증 수술 후 뇌경색 발생

by dha826 2022. 3. 30.
반응형
경동맥협착증 진단 아래 수술

환자는 과거 급성심근경색으로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바 있고, 관상동맥 우회로 수술을 받은 뒤 정기적으로 진료를 받아왔다. 환자는 당뇨와 고혈압 등의 질환도 있다.

 

환자는 피고 병원에서 진료를 받던 중 경동맥의 협착도가 62%였고, 3개월 뒤에는 63%로 높아졌다.

 

다시 3개월 뒤에는 협착도가 72%로 나타났고, 혈관이 많이 좁아져 뇌졸중 위험이 있다는 진단에 따라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받기로 했다.

 

경동맥협착증이란?

뇌에 주로 혈액을 공급하는 내경동맥의 혈관벽 안에 지방이 축적되고, 근육세포들이 증식하면서 혈관 내경이 좁하지는 상태를 말한다.

 

경동맥협착증 증상은 무증상에서부터 어지러움, 사지마비, 안면 마비, 연하 장애, 이상 감각 등 다양하며 심하게는 의식 저하나 식물인간 상태 내지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치료는 아스피린이나 와파린 등을 복용하는 약물치료와 혈관내 스텐트 삽입술, 경동맥 내막 제거술과 같은 외과적 치료가 있다.

 

수술 후 급성 경색 발견

환자는 피고 병원에 입원해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받았는데 수술 당시 총경동맥은 중증도의, 외경동맥은 경도의 동맥경화상태였고, 내경동맥은 완전폐색에 가까운 상태였다.

 

환자는 수술 후 당일 저녁부터 좌측 팔의 운동력 저하를 호소했고, MRI, CT 검사 결과 우측 대뇌반구 및 대뇌기저에 급성 경색이 발견되었다.

 

또는 며칠 뒤에는 우측 눈의 일시적, 반복적 시력 소실 증상이 나타나 검사한 결과 우측 안구허혈증후군, 혈전으로 인한 망막동맥폐색으로 진단되었다.

 

뇌경색으로 장애등급 판정

환자는 피고 병원에서 퇴원한 뒤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며 진료를 받아왔는데 약 1년 뒤 보행장애 등 좌반신 마비 증상이 심해져 피고 병원에 입원했다.

 

환자는 검사 결과 뇌 우측 뇌경색, 뇌 연화증 등으로 진단되어 입원치료를 받았다.

 

환자는 신체감정 결과 좌측 편마비로 보행이 힘들고, 경도 내지 중증도의 치매증상을 보이는 인지기능 장애 상태였으며, 이로 인해 뇌병변 장애 4, 시각 장애 6급 판정을 받았다.

 

원고의 손해배상청구소송 제기

그러자 환자 보호자들은 피고 병원 의료진이 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혈전을 충분히 제거하지 않는 등 처치를 소홀히 해 뇌경색을 초래한 과실이 있다며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사건의 쟁점

피고 병원 의료진이 환자를 상대로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혈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주의의무를 위반해 혈전을 초래했고, 이로 인해 뇌경색이 발생했는지 여부가 쟁점이다.

 

법원의 판단

피고 병원 의료진은 수술 당시 뇌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션트를 사용한 사실이 인정되므로, 의료진이 뇌허혈을 방지하기 위한 뇌보호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원고들의 주장은 이유 없다.

 

다만 환자는 과거 일시적인 뇌경색 증상을 보인 적이 있지만 증세가 호전되어 특별한 치료를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이고, 이후 수술 이전까지 뇌경색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환자는 수술 후 수 시간 만에 우측 대뇌반구 및 대뇌기저에 급성경색이 발생했는데 이는 저관류로 인한 뇌경색은 아니고, 혈전에 의해 뇌혈관이 색전되어 발생한 뇌경색에 해당한다.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시행할 경우 수술 중 충분히 제거되지 않은 혈전이 남아 있다가 뇌경색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션트를 사용할 경우 션트 삽입시 혈관이 손상되거나 션트 삽입으로 인한 내막박리, 공기나 혈전으로 인한 색전증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사정에 비춰 보면 이 사건 수술 후 발생한 뇌경색은 다른 부위가 아닌 부술 부위에서 발생했거나 수술 부위에 남아 있던 혈전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며, 이후 혈전에 의해 망막 동맥에 발생한 폐색 역시 마찬가지로 보인다.

 

이런 사정들을 고려하면 피고 병원 의료진에게는 이 사건 수술시 수술 부위에서 혈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잔여 혈전이 존재하지 않도록 처치할 주의의무가 있음에도 이를 소홀히 한 과실이 있다고 인정된다. 글 번호: 500943

 

 

2021.12.18 - [안기자 의료판례] - 뇌동맥류 수술 의료사고 총정리…뇌경색, 편마비, 보행장애

 

뇌동맥류 수술 의료사고 총정리…뇌경색, 편마비, 보행장애

뇌동맥류 발생 피고 병원 의료진은 원고에 대해 뇌혈관 조영술을 시행해 우측 중대뇌동맥에서 뇌동맥류를 발견하고, 비파열성 뇌동맥류로 진단했다. 의료진은 뇌동맥류가 파열되지 않은 상태

dha826.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