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기자 의료판례

신경초종 수술 대상과 신경 손상 부작용

by dha826 2024. 5. 20.
반응형

신경초종 진단, 수술, 합병증

신경초종은 신경세포(뉴런, neuron)를 따라 발생하는 종양이다. 대부분 단발성으로 신경외막, 즉 신경 껍질로 이루어진 피막에 싸여 말초신경, 두개신경 또는 교감신경을 따라 발생한다.
 
확인은 조직검사를 통해 하지만 수술 전에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다.
 
신경초종은 촉지 되는 종물과 더불어 문진으로 밝혀진 증상의 양상을 통해 가능성을 확인하고, MRI 검사를 통해 정확한 발생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MRI 검사를 시행하더라도 크기가 작은 종양들은 주된 종양의 일부인지, 주변 조직이나 신경 속에 연결된 별개의 종양인지 여부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집도의가 수술을 시행하면서 수술 시야를 통해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밖에 없다.
 

신경초종 수술 대상과 환자 유의할 점
신경초종 수술 대상, 환자 유의할 점

 
이는 발생빈도가 낮은 희귀한 질환이고, 무증상의 양성 종양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방사선학적 검사에도 뚜렷한 소견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신경초종 치료

치료법은 외과적 절제가 우선된다. 종양세포를 덮고 있는 피막과 모신경 섬유를 아래위 방향으로 절개한 후 모신경이 손상되지 않게 조심해 종괴를 적출해야 한다.
 
이 경우 종양을 덮고 있는 피막을 조심스럽게 아래위로 절개해 신경 손상을 최소화하며 종양을 적출해야 한다.
 
신경초종에 대한 수술을 하지 않으면 종물이 더욱 자라면서 신경을 압박하게 되고, 이로 인한 통증 및 감각이상 증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종물이 작고, 증상도 경미하면 관찰로서 충분하지만 종물이 커가면서 증상의 정도도 커지면 종양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술기인 외과적 절제술이 필요하다.
 

신경초종 사진신경초종 치료
신경초종 사진, 치료

 
수술 집도의는 종물을 주변 신경조직으로부터 잘 분리하기 위해 확대경을 이용해 수술하게 된다.
 

수술 부작용 내지 합병증

그런데 종양의 중심으로 모신경이 지나갈 경우 신경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종괴가 크지 않고 신경조직과 잘 분리가 되는 경우 신경 손상 없이 제거될 수 있다.
 
하지만 종괴가 그것이 기원한 신경과의 유착이 심하고, 모신경을 일부 침범하고 있으면 종괴 제거 과정에서 신경 손상이 불가피하다.
 
이처럼 신경초종 제거 수술 과정에서 모신경을 견인할 때 신경에 손상이 발생해 마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신경초종 수술 합병증
신경초종 수술 합병증

 
아울러 수술 후 합병증으로 감염이나 출혈, 감각 이상, 관절 내 연골 이상, 신경 또는 혈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신경초종 수술 부작용 실제 사례

K는 겨드랑이에 혹이 만져지고, 팔이 저린 증상이 발생하자 병원에서 CT 검사를 한 결과 신경초종으로 확인되어 수술을 받았다.
 
그런데 수술 후 손가락에서 감각 이상과 저린감이 나타났으며, 척골신경이 손상되어 팔의 운동 기능 이상, 감각 이상 증상이 영구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신경초종 수술 전 알아야 할 점

환자는 스스로의 결정에 따라 의료진이 권유하는 진료를 동의 또는 거절할 권리가 있지만 의학지식이 미비한 상태에서는 실질적인 자기 결정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대법원 판례(2009다 70906 판결 등)를 보면 의료진은 수술 전 환자의 증상, 진료의 내용 및 필요성, 예상되는 위험성과 함께 진료를 받지 않을 경우 예상되는 위험성 등 합리적인 사람이 진료의 동의 또는 거절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항을 설명할 의무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의사 설명의무
의사 설명의무

 
이런 점에서 신경초종 수술 집도의는 수술에 앞서 환자에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환자의 증상, 다양한 수술 방법과 수술 별 장점과 단점,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해 환자 스스로 수술을 받을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주의의무가 있다.
 
이 과정에서 환자는 신경초종을 수술하지 않고 좀 더 경과 관찰할 수 없는지, 수술을 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의료진으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들은 후 신중하게 수술을 받을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법원 사진신경초종 치료 의료사고 대응
법원 사진, 신경초종 의료사고 대응

 
2022.07.23 - [안기자 의료판례] - 신경초종 수술과 신경손상 후유증사건

신경초종 수술과 신경손상 후유증사건

신경초종 수술과 신경 손상 신경초종은 상, 하지의 어느 말초신경에나 발생하며, 종양이 주 신경과 유착되어 있거나 신경을 파고 들어간 경우 신경 절제가 불가피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

dha826.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