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인대강화 프롤로 주사치료 후 통증, 마비 발생 인대강화 주사치료의 효과와 의사의 주의의무 인대강화 주사치료 일명 프롤로 시술은 통증이 있는 부위 관절의 인대를 강화시키기 위해 고농도 포도당과 비타민 용액 등을 혼합한 증식제를 주입해 인대 강화를 유도하면서 만성 통증을 치유하는 비수술적 주사치료이다. 목이나 허리 디스크(추간판탈출증)나 디스크 팽윤증이 발생한 경우 목 부위와 손 등에 통증이 발생하는데 이때 인대강화 주사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깨 관절, 퇴행성 관절염, 오십견 등에도 시술할 수 있다. 인대강화 주사치료는 스테로이드 주사치료와는 차이가 있다. 스테로이드 주사치료는 단기적으로 통증을 개선하는 치료방법이지만 인대강화 주사치료는 인대의 자가 재생을 유도해 질병과 통증을 치료한다. 인대강화 주사치료는 환자의 상태, 손상의 범위와 .. 2023. 12. 26.
통증유발점 주사치료 후 통증, 발열 등 부작용 TPI 시술 부작용과 의사의 주의의무 힘줄이나 근육 통증을 줄이기 위해 통증유발점 주사치료(TPI)를 받은 뒤 환자가 통증, 발열 증상을 호소한다면 의료진은 어떻게 해야 할까? 이 경우 의료진은 염증, 감염 등으로 인해 통증, 발열이 발생한 것을 의심해 혈액검사 등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해야 할 진료 상 의무가 있다. 또한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체온, 맥박 등의 활력징후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래 사례는 통증유발점 주사치료를 한 뒤 통증, 발열 증상이 지속돼 다른 병원에서 검사한 결과 골수염으로 확인되어 치료를 받은 사안이다. 통증유발점 주사치료 후 통증, 발열 발생 사건 C는 5월 16일 엉덩이(둔부) 통증이 발생해 F 병원에서 통증 부위에 .. 2023. 12. 25.
지주막하 뇌출혈 두통 증상과 응급수술 뇌지주막하출혈 진료 의료진 주의의무 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뇌지주막하출혈이 의심되는 환자가 병원에 내원한 경우 의료진은 어떤 주의의무를 다해야 할까? 우선 신속하게 뇌 CT 등 진단 검사를 실시할 주의의무가 있다. 또한 뇌압을 낮추기 위한 약물 투여 등을 한 뒤 환자의 임상 상태 등을 감안해 적절한 시점에 수술을 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수술 전, 수술 후 환자의 임상 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적절한 처치를 해야 하며, 병원에서 즉각적인 검사 또는 수술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상급병원으로 전원해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불가피한 사정으로 다른 병원으로 환자를 전원 시킬 때에는 의료진을 응급차에 동승하도록 하고, 발작에 대비해 진정제를 준비하는 등 환자의 안정을 위.. 2023. 12. 24.
뇌동정맥기형 증상, 진단, 치료, 의사 주의사항 뇌동정맥기형이란? 뇌동정맥기형(AVM, Arteriovenous malformation)은 동맥과 정맥 사이의 모세혈관이 발생되지 않아 동맥에서 직접 정맥으로 이행하는 혈관기형이다. 이 경우 동맥에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약한 정맥으로 혈류가 바로 전해져 뇌출혈의 원인이 되고, 동맥 압력이 낮아지고 정맥 압력이 높아져 기형혈관 주위의 뇌 조직에 혈류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 장기적으로 노출되면 주위의 뇌 조직은 신경교증과 괴사를 일으키게 되며 주변 혈관들은 자동 조절 기전에 장애가 되고, 최대한 확장하게 된다. 뇌동정맥 기형의 증상 이때 우회 배출이 잘되지 못하거나 혈관 내벽의 변성이 심하면 출혈 증상이 발생한다. 뇌동정맥 기형의 절반에서 뇌출혈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통, 의식 저하.. 2023. 12. 23.
간암 수술 후 대량 출혈 발생했다면 따져볼 점 고주파 간암 절제 수술과 집도의 주의의무 간암 수술을 하는 집도의는 수술 후 환자에게 부작용 내지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술 전 종양 인근의 장기, 신경, 혈관의 위치를 파악해 수술 과정에서 절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의무가 있다. 또한 수술에 앞서 환자 또는 부득이한 경우 보호자에게 수술의 필요성, 수술 방법,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 환자 스스로 해당 의료행위를 받을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의무가 있다. 아래 사례는 간암 진단 아래 고주파간암절제수술을 한 뒤 대량 출혈이 발생해 저혈량성 쇼크로 안타깝게도 사망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에게 발생한 대량 출혈이 수술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합병증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집도의가 마땅히 .. 2023. 1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