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담낭암 증상과 의사의 검사 및 수술 주의의무 쓸개 담낭암 진단과 치료 담낭암 발생 위험인자는 담석증, 담낭 용종, 담낭벽 비후, 담체관 합류 이상(APBDU), 50세 이상, 총담관 낭종 등이다. 담낭(쓸개) 용종 크기가 10mm 이상인 경우, 담췌관 합류 이상을 동반하면 담낭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 담낭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상복부와 오른쪽 늑골 아래에 둔탁한 통증을 느끼는 것이다. 진행된 담낭암에서는 쇠약감과 체중 감소 등이 나타난다. 담낭암은 초음파나 CT 검사 등을 통해 담낭에 혹이 발견되면 의심하게 된다. 종양표지자 CA 19-9 검사, 내시경초음파 검사, 담낭 MRI 검사를 통해 보다 정확한 감별 진단이 가능하다. 다른 부위에 발생한 암과 달리 조직검사가 대부분 불가능하다. 따라서 담낭암이 의심되면 조직검사 과정 없이 곧바로 수술과.. 2023. 12. 11.
동맥경화 스텐트 시술 후 통증 등 증상과 처치 죽상동맥경화증 치료 의사의 주의의무 죽상동맥경화증은 혈관에 지방이 들어붙어 동맥이 좁아지고 탄력이 감소하는 질환으로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협심증, 심장마비와 같은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죽상동맥경화 진단을 받으면 혈액응고를 억제하는 항응고제인 헤파린과 와파린을 투여하면서 항응고 치료를 하고, 통상 혈관조영술과 함께 혈관 확장을 위해 스텐트를 통과시키는 혈관중재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죽상동맥경화증 치료를 위해 혈관중재술을 시행한 뒤 허리나 배의 통증, 복부 팽만 등을 호소하거나 심한 경우 의식을 잃거나 심정지를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런 부작용 내지 후유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이 시술 이전, 시술 과정, 시술 후 주의의무를 성실하게 이행해야 한다. 다음은 죽상동맥경화증에 대해 .. 2023. 12. 10.
용종, 총담관 확장 등 담낭암 의심 환자 진단 지연 쓸개 담낭암 환자에 대한 의료진의 주의의무 종합검진 결과 담낭(쓸개) 용종, 총담관 확장 등의 진단을 받고, 추가 검사 결과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는 소견에 따라 상급병원에 내원했다면 의료진은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런 상황이었다면 의료진으로서는 최소한 기존 병원에서 시행한 CT 영상을 다시 판독하거나 추가 검사를 시행해 즉시 수술을 해야 할지, 일정 기간 경과를 관찰한 뒤 추가 검사를 할지 판단해야 할 의료 상 주의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래 사례는 담낭염 의심 소견이 있어 수술이 필요하다는 권고를 받은 환자에 대해 6개월 뒤 추가 검사를 한 결과 말기 담낭암으로 확진된 사안이다. 뒤늦게 말기 담낭암 확진 사건 K는 2018년 6월 종합검진에서 상복부 초음파 검사 결과 다수의 담낭(쓸개) 용종, 총담관.. 2023. 12. 9.
의사의 진단, 치료 상 과실과 재해사망보험금 암 수술 후 사망했다면 재해사망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만약 재해 사망금 보험 가입자가 암 진단을 받고 수술을 했지만 의료진의 진단 상 과실로 인해 사망에 이르렀다면 유가족은 재해 사망 보험금을 받을 수 있을까? 재해 사망 보험 가입 경위 B는 2003년 우체국(대한민국)이 출시한 재해안심보험에 가입해 있었다. 보험계약에는 평일 발생한 재해로 인해 사망했을 때’ 3,000만 원, 휴일 발생한 재해로 인해 사망했을 때 5,000만 원의 보험금을 지급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그리고 ‘재해’에 대해 ‘우발적인 외래의 사고로서 다음 분류표에 따른 사고를 말합니다.’라고 규정하며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 중 환자의 재난이 ‘재해’에 해당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는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의 불이행(조기 중단)이 포.. 2023. 12. 8.
디스크 수술 후 감염으로 통증, 염증, 추간판염 허리 디스크 수술 의사의 주의의무와 감염 사건 허리 디스크 수술 후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하반신 마비, 운동 기능 저하, 지속적인 통증 등이 있다. 의료진은 허리 디스크 수술 후 환자에게 부작용 내지 후유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아래와 같은 주의의무를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 첫째, 설명의무다. 의료진은 허리 디스크 수술을 하기에 앞서 환자 또는 환자 보호자에게 환자의 상태, 다양한 수술 방법, 수술 방법의 장점과 단점,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해 환자가 수술을 받을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주의의무가 있다. 둘째, 수술 과정의 주의의무다. 수술 집도의는 수술 과정에서 주위 신경 등을 손상해 마비 등의 후유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셋째, 감염 주의의무다. 수술 집도의는 수.. 2023.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