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후종인대골화증 증상과 수술 집도의 준수 사항 후종인대골화증 집도의 주의의무 후종인대골화증은 후종인대가 두터워지고 뼈처럼 딱딱해져 각종 증상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증상은 목 디스크처럼 목덜미가 결리고 뒷목과 양 어깨가 뻐근하고 쑤신다. 손이 저리거나 팔에 통증이 있으며, 손에 힘이 없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심하면 다리 감각 이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후종인대골화증은 주로 전신 마취 아래 전방 경유 절제술 및 유합술 등을 시행하게 되는데 수술 과정에서 의료진의 잘못으로 인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신중하게 병원, 의료진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특히 후종인대골화증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수술 전, 수술 과정, 수술 후 경과 관찰 과정에서 지켜야 할 주의의무를 성실히 이행해야 환자에게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고.. 2023. 12. 5.
치매환자 폐렴 등 이상 증상과 의사의 과실 치매 증상과 의료진의 진단 및 치료 과정 주의의무 치매 환자의 대표적인 특징은 하루 종일 돌아다니는 배회, 남의 물건을 뒤지거나, 남의 음식을 가져다 먹는 행동조절 장애 등을 꼽을 수 있다. 아래 사례는 치매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폐렴, 패혈증으로 사망한 사건으로, 의료진이 환자의 이상 증상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검사를 하지 않거나, 경과 관찰을 소홀히 해 적절하게 대응하지 않을 경우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치매 환자 사망 사건 H는 알코올성 치매 진단을 받고 K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아왔다. 그런데 9월 1일 오전 6시 10분 끙끙 앓는 소리를 냈고, 6시 15분 콧물이 나고 목이 아프다고 호소했다. 당시 환자의 체온은 39.2도로 열이 심했다. 그러자 의료진.. 2023. 12. 4.
호흡곤란 증상 부정맥 심실세동 검사와 치료 호흡 곤란 환자 치료 의사의 주의의무 조금만 걸어도 숨이 차는 노작성 호흡 곤란 증상을 지속적으로 보인다면 의료진으로서는 어떤 검사와 치료를 해야 할까? 장기간 호흡 곤란 증상을 보인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는 기본적으로 신속하게 해당 증상의 원인을 규정하기 위해 관련 검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처치를 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만약 부정맥 심실세동, 심부전 의심 환자에 대해 심초음파 검사 등을 하지 않았다면 의료상 과실을 의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를 했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악화된 경우 추가적인 검사와 치료를 할 수 있는 상급병원으로 전원을 권유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신속하게 전원해야 할 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체하거나 전원 하지 않아 상태.. 2023. 12. 3.
위장관 출혈 증상과 내시경 검사 및 치료 위장관 출혈 증상과 의사 주의할 점 상부 위장관 출혈이 발생한 경우 수혈과 수액 공급, 내시경검사 등의 조치를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의료적 처치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뇌손상이 발생하거나 심하면 식물인간이 될 수도 있다. 위장관 출혈의 증상은 무엇이고, 어떻게 치료하며, 환자에게 부작용이나 후유증을 남기지 않거나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소장, 대장 등 위장관 부위에서 출혈이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장관 출혈 발생 원인으로는 위, 십이지장 궤장을 포함한 소화성 궤양이 가장 흔해 전체의 약 50~60%를 차지한다. 또 미란성 위염, 식도염, 십이지장염이 전체의 약 15%, 그 밖에 식도 정맥류와 위 정맥류, 기.. 2023. 12. 2.
골다공증 있는 노인 대퇴부 골절수술 주의점 골다공증 노인 골절 수술할 때 고려할 점 고령인 데다 골다공증이 있는 상태에서 대퇴골 골절 사고를 당해 골절 부위 고정 및 핀 삽입 수술을 했지만 골절 부위가 유합 되지 않아 결국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이런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진은 내고정물을 삽입 하더라도 골절 부위가 유합 되지 않을 수 있어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는 점을 충분히 설명해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또한 골절 부위 내고정물을 삽입하고 판으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불유합이나 부정 정렬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래 사례 대퇴부 골절 사고를 당해 수술을 했지만 불유합이 발생해 결국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가 수술 과정에서 과실이 있었다며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사안이다. 골다공증 .. 2023. 12.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