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목 디스크 수술 후 호흡 곤란 등 증상 발생했다면 목 디스크 집도 의사 주의의무 목 디스크(경추 추간판탈출증) 환자가 수술을 받은 뒤 호흡 곤란을 호소하는 상황에서 의료진의 대처가 늦거나 판단 잘못으로 잘못된 처치를 하면 자칫 상태를 악화시키거나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목 디스크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는 환자에게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 이전 단계, 수술 단계, 수술 후 경과 관찰 단계에서 주의의무를 다해야 한다. 가. 수술 전 설명의무 목 디스크를 집도하는 의료진은 수술을 하기에 앞서 환자 또는 환자의 법정 대리인에게 수술의 필요성, 다양한 수술 방법, 수술 별 장점과 단점, 수술 후 기도 폐쇄로 인한 호흡 곤란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다. 또한 수술 과정에서 호흡 곤란 등의 .. 2023. 11. 30.
백내장 증상과 수술 후 시력저하 등 부작용 백내장 수술 의사 주의의무 백내장이 있으면 안개가 끼듯이 사물이 흐려 보인다. 또 멀리 있는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거나 밝은 날 야외에서 더욱 흐리거나 눈부심이 있을 수 있으며, 사물이 이중으로 보이기도 한다.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은 출혈, 안내염, 녹내장, 망막박리, 황반부종, 시신경 손상 내지 시력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백내장 수술 의사가 지켜야 할 점 백내장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의사가 백내장 수술 이전, 백내장 수술 과정, 수술 후 경과 관찰 단계에서 주의해야 할 의무를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 백내장 수술을 하는 의사의 주의의무는 아래와 같다. 가. 수술 과정의 주의 의무 백내장 수술을 하는 안과 의사는 수술 후 빛 번짐, 시력 저하 등의 부작용이.. 2023. 11. 28.
디스크 수술 후 통증 등 후유증 대처 방법 허리 디스크 증상과 수술 부작용 요추(허리뼈) 추간판 탈출증(허리 디스크)의 주요 증상은 요통, 하지 방사통, 다리 근력 및 감각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아래 사례는 허리 디스크 진단 아래 추간판 절제수술을 한 뒤에도 통증이 호전되지 않자 다른 병원에서 수술 부위 혈종 제거수술을 한 사안이다. K 씨는 넘어지는 사고를 당한 뒤 허리 통증이 지속되자 P 병원에서 MRI 검사를 받았고, 의료진으로부터 요추(허리) 추간판 탈출증(Herniation of Nucleus Pulposus), 일명 허리 디스크 진단을 받았다. 허리 디스크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곧바로 수술에 들어가는 것은 아니다. K 씨는 P 병원에서 경막 외 신경차단술 치료를 받았지만 통증이 개선되지 않자 약물 치료를 받았다. 의료진은 약물 치료.. 2023. 11. 25.
게실염 환자 복막염 진단 지연, 기도 삽관 실패 게실염 합병증, 복막염 및 기도 삽관 지연 사건 대장 게실염 의심 환자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 복막염이 발생해 패혈증으로 사망했다면 진료 과정에서 어떤 과실이 있었던 것일까? 게실(diverticulum)이란 위, 소장, 대장, 담낭, 방광 등의 장기 바깥쪽으로 돌출한 비정상적인 작은 주머니다. 대장에 발생한 게실을 대장 게실이라고 한다. 이 주머니 쪽에 염증이 생긴 것을 게실염이라고 한다. 특히 S상 결장 부위 게실에 발생하는 천공은 대장 게실 안의 압력 증가 또는 대장 내 압력 증가가 주요 원인이다. 대장게실염이 진행하면 미세 천공이나 천공이 발생해 염증이 주위 조직으로 퍼져 나가게 되는데 합병증으로 농양, 천공, 장폐색, 장루 형성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대장 게실염의 합병증인 천공은 대장 게실.. 2023. 11. 24.
척추관협착증 수술 후 마비 등 장애 발생했다면 척추관협착증 수술 부작용과 진단 및 응급수술 지연 허리 통증과 하지 방사통을 발생해 병원에서 허리 척추관 협착증 및 척추탈위증 진단을 받으면 통상 감압술과 척추유합술을 받게 된다. 그런데 수술 다음 날 CT 촬영 결과 수술 부위에서 발생한 혈종이 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 혈종제거 수술과 감압술을 시행했는데도 양쪽 다리 운동 장애와 감각 저하, 배뇨 및 배변 장애, 발기 부전 등의 마미증후군이 발생했다면? 허리 척추관에서 마미증후군이 발생하면 다리 통증이 심하고, 저림증도 있으며, 무릎, 발목, 발가락의 운동과 감각이 떨어지며 대소변 장애가 발생하고, 다수에서 성기능 장애도 동반한다. 이런 영구적인 장애가 발생했다면 환자 입장에서 의료진의 과실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수술 후 이상증상.. 2023. 1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