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내시경11

식도 정맥류 위장관 출혈로 토혈, 혈변 있다면 식도 정맥류로 인한 상부 위장관 출혈 조치 과실 식도 정맥류는 정맥이 혹처럼 부풀어 오르는 것으로, 터지면 피를 토하는 토혈, 혈변을 보고, 심하면 출혈성 쇼크에 빠져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 등에서 출혈이 발생한 것으로, 위염, 식도염, 십이지장염, 식도와 위 정맥류 등이 원인이다. 상부 위장관 출혈이 발생하면 수액을 공급하고 수혈, 지혈제 투여 등을 한 뒤 빠른 시간 안에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실시해 출혈 위치를 확인하고, 결찰술이나 경화요법, 풍선탐폰법 등으로 신속하게 치료해야 한다. 아래 사례는 상부 위장관 출혈 소견을 보인 환자에 대해 신속하게 내시경 검사를 해 출혈 지점을 확인한 뒤 지혈 조치를 하지 않아 저산소성 뇌 손상이 발생한 사안이다. 상부 .. 2023. 8. 14.
간경화 환자가 식도정맥류가 발생해 내시경시술 중 정맥류 출혈로 사망 간경화 환자에게 식도정맥류가 발생해 상부위장관내시경을 시행하던 중 정맥류 출혈로 인해 사망한 사건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패, 2심 원고 일부 승 사건의 개요 환자는 30년 전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로 확인되었고, 간경화, 고혈압, 위식도정맥류 출혈에 관한 치료를 받은 적이 있다. 환자는 흑혈변과 토혈을 해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의료진은 위식도정맥류 출혈을 의심하고 상부 위장관 내시경시술을 하기 위해 검사실로 환자를 옮겼다. 식도정맥류 간경변증에 의한 문맥압 항진증으로 인해 혈액이 더 이상 간으로 들어가질 못하고 많은 혈액이 좀 더 쉬운 길 즉 압력이 낮은 쪽으로 길을 만들어 흘러가게 된다. 이렇게 해서 원래 가늘었던 혈관들이 작게는 몇 십 배에서 크게는 몇 백배 이상으로 확장되고.. 2019. 5. 12.
내시경 역행 췌담관조영술로 담석을 제거하면서 프로포롤을 과량 투여해 저산소성 뇌손상 의료진이 내시경 역행 췌담관조영술을 통해 담석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프로포폴을 과량 과속 투여하고, 환자 본인에게 시술의 부작용 등을 설명하지 않은 과실.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기초 사실 원고는 양측 간내 담관의 확장이 관찰돼 피고 병원 응급실에 입원해 결석으로 인한 담관염 진단을 받아 내시경 역행 췌담관조영술을 통해 담석을 제거하기로 했다.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RCP) 내시경과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로,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삽입하고 '십이지장 유두부'라고 하는 작은 구멍을 통하여 담관 및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시켜 담관 및 췌관의 병이 있는 부위를 관찰하는 검사법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료진은 원고를 복와위(엎드린 자세)로 눕히고 시술을 종료한 후 .. 2019. 3. 31.
폐 기흉 수술 과정에서 다제내성균에 감염돼 농흉 유발 개흉적 기포절제술 과정에서 다제내성균에 감염돼 농흉 유발한 병원 손해배상. 사건: 손해배상 판결: 1심 원고 일부 승, 2심 원고 일부 승, 대법원 상고 기각 사건의 개요 원고는 좌측 폐 기흉으로 개흉적 기포 절제술을 받은데 이어 우측 폐 기흉으로 약물요법 등 보존적 치료를 받은 후 특별한 증상 없이 생활했다. 그러던 중 우측 가슴 통증으로 피고 병원에 내원해 CT 촬영 결과 우측 폐에서 다수의 기포가 발견되자 피고 D는 추측 폐 자발성기흉으로 진단하고 수술을 권고했다. 기흉[pneumothorax ] 공기가 없어야 하는 가슴 안쪽에 공기가 존재하는 상태.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늑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이다. 흉강 내로 공기가 유입만 되고 배출이.. 2017. 7. 16.
만성 부비동염 수술 중 혈관 손상으로 안와 내 혈종 야기해 시력 상실 (만성 부비동염시술 중 과실) 손해배상 1심 원고 일부 승, 2심 항소 기각(소송 종결) 원고는 2009년 의경으로 입대해 경찰서에서 군복무를 하던 중 코막힘을 이유로 피고 병원을 내원했는데 당시 원고는 피고 병원 소속 의사인 김○○에게 과거 내시경 부비동 시술받았고, 피고 병원에 내원하기 전 약 한 달 보름 가량 내과적 치료를 받았음에도 반응이 없다고 했다. 코곁굴(부비동) 콧구멍이 인접해 있는 뼈 속 공간으로 굴처럼 만들어져 공기로 차 있는 부위. 4개의 코곁굴이 있으며, 굴이 형성된 뼈에 따라 이름 지어졌다. 각각은 눈썹 부근 이마뼈에 있는 이마굴, 코안과 눈확 사이 벌집뼈에 있는 벌집굴, 나비뼈 몸통에 있는 나비굴, 위턱뼈 속에 형성된 위턱굴로 구분된다. 머리 무게를 가볍게 하고, 호흡시 공기를 .. 2017. 6.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