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실명17

백내장, 당뇨망막병증 수술 후 시력 저하, 실명 환자가 갑자기 시력장애와 청력장애를 호소해 백내장, 당뇨망막병증 진단 아래 수술했지만 실명과 함께 청력을 상실했다면 환자를 진료한 의사는 어떤 의료상 잘못을 한 것일까? 당뇨망막병증 증상 당뇨망막병증은 당뇨 합병증으로, 당뇨병 환자의 절반 정도에서 발생한다. 혈당이 올라 약해진 혈관이 막히면서 적절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없게 되어 혈관에 문제가 생기고, 망막이 붓고 두꺼워져 시력이 떨어지는 증상이다. 당뇨망막병증의 증상은 시력 저하, 흐려짐, 색깔을 정확하게 구분하지 못하거나 희미하게 보인다. 특히 초기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 있어 당뇨가 있으면 정기적인 검사를 받아야 한다. 당뇨망막병증이 늦게 발견될수록 시력을 회복할 확률이 점점 감소하기 때문에 망뇨망막병증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망막 전문의에.. 2023. 3. 11.
황반부종 주사시술 후 안내염, 시력 저하했다면 황반부종, 황반변성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 이 시술은 황반부종, 망막 혈관병증, 황반변성 등의 질환에서 주사를 이용해 유리체강 안으로 유효성 있는 약제인 트리암시놀론을 주입하는 방식이다. 시술 과정에서 혈행을 통해 내인성 감염이 생기거나 결막이나 눈꺼풀 등의 세균총이 주사 부위를 통해 침입하는 등으로 안구내염이 발생할 수 있다.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술 과정에서 감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안건염, 결막염 등 외안부 감염증을 완치하고, 수술기구에 일반적인 소독절차를 거치고 멸균된 주사기 및 주사침을 사용해야 한다. 녹농균은 독성 및 병원성이 높은 균주의 일종으로 병원감염으로 분류되어 있고, 주로 면역력이 약해진 환자들에게 발생한다. 아래 사례는 황반부종을 치료하기 위해 유리체강 내 .. 2023. 2. 28.
눈 전방출혈 치료상 과실로 실명 눈 전방출혈 후 실명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눈 부위에 출혈이 발생해 피고 병원에서 안압치료를 하고 퇴원했지만 며칠 뒤 전방출혈 및 재출혈이 발생해 인공수정체 삽입술 치료를 했지만 실명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피고 병원 의료진이 진료 과정에서 관찰 및 처치를 해야 할 주의의무를 위반한 과실이 있는지, 전방출혈의 위험성 등을 제대로 지도설명하지 않아 환자가 적기에 치료받을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게 했는지 여부다. 눈 출혈 후 재출혈로 실명된 사건의 개요 원고는 야구를 하던 중 야구방망이에 오른쪽 눈 부위를 맞아 눈썹 부위가 찢어지고 시야가 흐려지는 증상을 보여 피고 병원 응급실에 내원했다. 당시 안압이 36mmHg(정상범위 15~25mmHg)이었고, 전방출혈이 4mm 가량 발생한 상태였다. 전방출혈이.. 2022. 9. 24.
백내장 수술후 실명, 집도의 변경 대리수술 설명의무 백내장 수술 후 실명 사건의 쟁점 이번 사건은 시력이 0.02일 정도로 중증 백내장 진단을 받은 환자가 백내장 수술을 받는 과정에서 수정체 후낭이 파열되어 다른 병원에서 2차 수술을 받았지만 거의 실명상태가 된 사안이다. 이번 사건의 첫 번째 쟁점은 원고가 피고1이 백내장수술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지만 집도의를 변경해 다른 의사로 하여금 대리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이를 설명하고 동의를 받았는지 여부다. 또 하나의 쟁점은 피고1, 피고2 병원이 백내장수술을 하는 과정에서 수정체 후낭을 파열했고, 그 뒤 시력을 회복할 수 없게 되었다면 이 것이 의료진의 의료상 과실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중증 백내장으로 인한 합병으로 봐야 하는지 여부다. 백내장, 익상편 진단 아래 수술 원고는 피고1이 운영하는 의원.. 2022. 8. 15.
안구 통증, 안압 상승 치료상 과실 황반원공 진단 아래 가스주입술 시술 원고는 피고 병원에서 안과 의료진으로부터 오른쪽 눈 황반원공 진단을 받고 이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리체절제 및 가스주입술 1차 시술을 받았다. 황반원공은 안구내 황반에 원공(구멍)이 생기는 질환으로 치료법으로는 안구내 유리체를 절제한 후 황반에 난 구멍에 가스 또는 기름을 주입해 황반원공을 압박해 원공 폐쇄를 유도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황반원공 2차 시술 원고는 시술 후 피고 의료진으로부터 상태를 점검받아왔는데 시술 약 2달 후 검사 결과 황반원공이 부분적으로 폐쇄되지 않고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자 의료진은 1차 시술시 주입한 가스가 약 20% 가량 남아있는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가스를 더 충전하기 위해 액체가스 교환 시술(2차 시술)을 받았다. 황반원공.. 2022. 3.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