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의료이야기340

전담 전문의, 장비, 시설 우수 중환자실 중환자실(Intensive Care Unit)은 생명이 위급한 급성질환자들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병실이다. 그만큼 예측 불가능한 중증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만큼 전담 의료진과 동맥혈 가스분석기, 인공호흡기, 지속적 신대체요법(CRRT), 기관지 내시경 등의 전문장비와 시설을 갖추고, 감염관리 등을 철저히 해야 한다.  보건복지부 산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중환자실의 전담 전문의 1인 당 중환자실 병상 수, 간호사 1인 당 중환자실 병상 수, 중환자실 전문장비 및 시설 구비 여부, 중환자실 감염관리 활동 여부, 중환자실 사망률에 대한 적정성평가를 실시해 그 결과를 발표해 환자들이 중환자실을 이용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23년 상급종합병원 45개.. 2024. 7. 27.
간경화 증상과 식도정맥류, 출혈 합병증 간경화(간경변증)가 상당히 진행된 경우 출혈 위험성이 높고, 헤모글로빈 수치가 7g/dl 이하일 경우에만 수혈을 제한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출혈이 발생한 간질환 환자에게 별다른 제한 없이 수혈하면 사망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간기능이 악화되어 신기능도 함께 저하되거나 잔존 간기능이 부족한 상태에서 다재내성균 감염증이 발생하는 것 역시 그 자체도로 다발성 장기부전 발생 가능성 및 사망률이 높다.  간경변증으로 간성혼수, 식도정맥류 발생 사건J는 14일 맥주를 1잔 마시고 잠이 들었는데 다음 날인 6월 15일부터 배, 허리, 옆구리 통증이 발생했다. J는 18일까지 통증이 지속되고, 황달에 발열까지 동반되자 21일 K 병원에 내원했다.  환자는 21일 오전 7시 병원 응급실에서.. 2024. 7. 26.
섬망에 항정약 할로페리돌 투여 주의할 점 수술 후 환자가 의식 혼란 상태를 의미하는 기면 증상을 보이고, 질문에 이름을 대긴 하지만 말투가 어눌하고, 손을 풀어 달라고 자주 말하고, 침대에서 뒤척임이 많아지고, 격한 몸부림을 보인다면 이는 섬망 환자들이 흔히 보이는 모습이다.  섬망은 수술 등으로 인해 몇 시간 내지 수 일간 나타나는 급성 혼란 상태를 의미하는데 고령에서 많이 발생한다. 수술 후 노인의 15~53%, 집중치료실 노인 70~87%에서 섬망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다양하고 심각한 전신질환 과거력이 있거나, 다양한 약제를 투여하고 있거나 수술 후 극심한 통증 등이 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자가 섬망으로 인해 행동 조절이 되지 않아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의료적 처치를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 2024. 7. 20.
무서운 괴사성 근막염 '회음 괴저' 회음 괴저는 음낭과 음경뿐만 아니라 회음부와 항문 주위, 하복부까지 급격히 파급되는 괴사성 근막염을 일컫는다. 회음 괴저는 갑자기 발생해 빠르게 진행되고 사망률이 15~50%에 이르는 응급질환으로 즉각적인 복합 항생제 투여와 광범위한 괴사조직 제거가 필수적이다.  회음 괴저 절제수술 후 패혈증 발생I는 고혈압, 당뇨 등의 병력이 있는데 11월 16일 오전 7시 항문 통증(anal pain)을 호소하며 119 구급대에 의해 K 병원 응급실에 이송되었다. 당시 I는 의식이 명료한 상태였다. 의료진은 혈액검사, 흉부 엑스레이 검사, 뇌 CT, 심전도 검사,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 흉부 및 복부 CT 검사 등을 시행해 달리 분류되지 않은 괴저(Gangrene, NEC)로 진단했다.  그리고 오후 2시부터 3시까.. 2024. 7. 19.
자궁, 방광 탈출증 유의해야 할 수술 후유증 자궁탈출증, 소위 ‘밑이 빠지는 병’은 여러 골반장기탈출증 중의 한 가지다. 골반장기탈출증은 자궁이나 질, 항문, 방광 등 골반 주변의 장기가 밖으로 빠져나오는 증상이다. 자궁이 밖으로 돌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통증과 불편감을 느끼게 되고, 질염, 빈뇨, 잔뇨감, 변비, 우울증 등을 초래한다. 수치심 때문에 치료를 미룰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치료해야 한다.  치료 방법은 증상 초기에는 질 안에 기구(페서리)를 삽입하는 질 성형, 자궁탈출교정술 등을 통해 자궁을 위로 올려주는 치료를 하고, 심한 경우 불가피하게 자궁절제, 자궁적출 수술을 할 수도 있다.  특히 자궁탈출증은 요실금을 동반하거나 잠복성 요실금일 가능성이 높아 반드시 요실금 검사를 거쳐 함께 치료해야 삶의 질을 높.. 2024. 7.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