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뇌경색91 동맥경화 증상 불구 디스크 수술한 뒤 뇌경색 아래 사례는 허리 디스크 진단 아래 수술을 시행한 뒤 뇌경색이 발생해 편마비, 실어증 등으로 치료를 받은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가 수술을 하기 전 동맥경화 증상이 있었고, 혈소판 수치가 정상치를 밑돌았음에도 불구하고 예정대로 수술을 시행한 것이 과실에 해당하는지 여부다. 동맥경화, 혈소판 낮은 환자 디스크 수술 후 뇌경색 발생 환자는 허리와 왼쪽 엉덩이 통증, 다리 저림 등의 증상이 지속되자 피고가 운영하는 H병원을 방문해 요추(허리뼈) 4-5번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진단을 받았다. 의료진은 디스크 수술을 하기 전 시행한 흉부 X-ray 검사 결과 대동맥에서 혈관이 좁아지는 동맥경화적인 병변이 관찰되었다. 또 수술 전 혈액검사를 한 결과 혈소판 수치가 97,000/㎣(정상치 130,000~400.. 2023. 6. 10. 일과성 뇌허혈발작 아닌 '뇌경색' 보험금 지급 판결 뇌경색 보험금 지급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환자를 직접 대면해 치료하거나 진단한 주치의들의 진단이 자문의나 감정의의 의견보다 신뢰할 만한 사정이 있으면 주치의의 진단에 따라야 한다. 아래 사례는 뇌경색 진단 보험 가입자가 뇌경색 진단을 받아 해당 보험사에 보험금을 청구하자 환자에게 발생한 질병이 뇌경색증이 아닌 일과성 뇌허혈발작이라고 판단해 보험금 지급을 거부한 사안이다. 뇌경색 진단 보험계약자에게 보험금 지급 거부 사건 원고 B는 피고 보험사와 뇌경색증 등으로 진단받으면 2,000만 원의 보험금을 받는 보험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보험계약 보통약관을 보면 뇌졸종은 거미막밑 출혈, 뇌내출혈, 기타 비외상성 머리내출혈, 뇌경색증, 대뇌경색증을 유발하지 않는 뇌전동맥 또는 대뇌동맥 폐색 및 협착으로 분류되는.. 2023. 4. 16. 신생아 황달인줄 알았더니 괴사성 장염 신생아 괴사성 장염 임상증상 신생아 괴사성 장염은 대개 미숙아나 만삭아에서 질식, 다운증후군, 선천성 심질환, 로타바이러스 장염, 선천성 거대결장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생아 괴사성 장염의 임상증상으로는 복부팽만, 위저류, 담즙성 또는 비 담즙성 구토가 발생하며, 약 25%에서는 혈변을 보인다. 기면, 체온 불안정, 무호흡 등은 패혈증이 동반되는 경우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다. 신생아 황달 신생아게에 혈중 빌리루빈이 증가해 나타나는 질환이다. 생후 1주 이내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되는 흔한 증상이다. 병적 황달 여부 파악을 위한 추적검사가 필요한 경우는 생후 24~36시간 이내 발생한 경우, 혈청빌리루빈의 증가 속도가 5mg/dl 이상인 경우, 혈청빌리.. 2023. 1. 25. 증상 비슷한 이석증, 뇌경색…뇌CT 검사 늦어 편마비 증상 비슷한 이석증과 뇌졸중 구역감을 동반한 심한 어지럼증의 원인은 전정신경계 문제로 발생하는 말초성 현기증(peripheral vertigo)이 가장 흔하다. 또 뇌졸중 등 중추신경계 문제로 발생하는 중추성 현기증(central vertigo)도 원인이 된다. 어지럼증과 구토 증상만으로는 말초성 현기증과 중추성 현기증을 구별하지는 않으며, 심한 두통, 발음이상, 감각이상, 운동이상, 뇌신경마비 등 다른 신경학적 증상과 자세한 이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양자를 구별할 수 있다. 뇌경색은 증상 발생 후 조기 치료가 관건 급성기 뇌경색의 증상이 발생한 후 4~5시간 이내에 혈전용해제를 투여하면 3개월 후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할 정도로 회복될 확률이 30%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따라서 신경학적 증상 등 뇌.. 2022. 11. 2. 구토, 어지럼증 호소했지만 뇌경색 진단지연 뇌경색 진단 및 치료 지연 사건의 쟁점 환자가 구토와 어지럼증을 호소하며 병원에 내원한 경우 의료진인 뇌병변을 의심해 관련 검사를 할 주의의무가 있다. 이번 사건은 갑자기 어지럼증과 구토를 호소하며 병원 응급실에 내원하자 병원이 현훈증으로 진단했지만 다음 날 뇌경색으로 진단받아 수술을 했지만 사망한 사안이다. 이번 사건의 쟁점은 뇌병변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을 호소한 환자에 대해 병원이 시기적절한 검사와 진단을 거쳐 처치를 했는지 여부다. 소뇌경색 발생 사건의 경과 환자는 12월 30일 새벽 4시 경 집에서 잠을 자던 중 갑자기 어지럼증과 구토 증상을 보여 오전 7시 32분 피고 병원 응급실에 왔고, 신경과 전공의는 ‘양성돌발성체위성현훈증(BPPV)’ 진단을 내렸다. 환자는 같은 날 오후 6시 피고 병원.. 2022. 9. 8. 이전 1 2 3 4 5 6 7 ··· 1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