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지마비49

척수병증 동반 디스크 수술 전 유념할 점 척수병증 동반 디스크 수술 부작용과 환자 주의할 점 P 씨는 퇴근하던 중 다리 마비 증상이 발생하자 뇌출혈을 의심해 바로 C 병원 응급실에 내원해 MRI 검사 등을 받았다. 그 결과 다행히 뇌출혈은 아니었지만 척수병증을 동반한 경부(목뼈) 추간판 탈출증(디스크) 진단을 받았다. 이에 추간판을 제거하고, 척수를 감압한 후 케이지를 삽입해 고정하는 수술을 했다. 그런데 수술 이후 다리 강직성 마비, 자력으로 기립이나 보행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고, 스스로 식사나 옷 입기 등을 할 수 없는 지체기능장애 2급 장애 진단을 받았다. P 씨는 전동휠체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동이 불가능하다. 척수병증이란? 척수에 기존의 압박이 있는 상태에서 굴곡되면 척수가 길고 가늘어지며 골극에 의해 척수 압박이 증가한다. 또 척추.. 2024. 4. 9.
두개인두종 증상과 수술 후 사지마비 등 장애 뇌종양 두개인두종 수술과 집도의 주의의무 두개인두종(craniopharyngioma)은 시신경교차, 뇌하수체 및 터키안 상부, 시상하부, 제3뇌실 부위에서 발생하는 양성 뇌종양이다. 주변 구조물과 유착이 되고 뇌신경 및 주요 혈관들이 종양 표면을 가리고 있어 완전 척출이 어렵고, 재발이 흔해 임상으로는 악성 종양으로 분류된다. 두개인두종 증상은 수두증, 호르몬 저하, 시력 소실, 시야 장애, 의식 장애 등이 있다. 치료 방법 두개인두종 치료 방법은 광범위한 수술적 절제, 부분절제 후 고식적 방사선 치료 등이 있다. 수술적 제거가 기본적으로 중요한 치료 방법이지만 완전 적출이 어렵고, 합병증 발생률 및 재발률이 높다는 점을 고려해 부분 절제 후 방사선 치료를 실시하기도 한다. 수술적 절제는 개두술과 비강을.. 2023. 12. 13.
경추 척수증 인공디스크 수술 후 사지마비 경추 척수증 수술 부작용과 의료사고 판단 기준 경추 척수증은 목뼈인 경추의 퇴행성 질환 때문에 발생한 압력이 척수를 누르면서 2차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척수 기능장애다. 증상은 손이나 팔의 근력이 약화되고, 감각 이상 및 다리 근력 약화로 인한 보행 장애가 생긴다. 수술적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면 대부분 환자가 서서히 악화된다. 아래 사례는 경추 척수증으로 인공디스크 삽입 수술을 한 뒤 사지 근력 마비가 발생해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를 했지만 사지마비가 발생한 사안이다. 경추 척수증 인공디스크 수술 경과 A는 S 병원 정형외과에 내원해 "앉아 있다가 일어서려고 하면 심한 통증을 한 달 이상 겪고 있다"라고 호소했다. 또 얼마 뒤 다시 S 병원에 내원해 오른손의 둔화감 및 위약감, 경추 5~6번 영역.. 2023. 10. 23.
뇌동맥류 수술 후 뇌출혈, 뇌경색…의사 과실은? 뇌동맥류 수술 후 뇌출혈, 뇌경색 발생했다면 뇌동맥이 꽈리처럼 부풀어 올라 뇌출혈을 일으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이 뇌동맥류이다. 뇌동맥류 진단은 뇌혈관 CT 촬영, 뇌자기공명혈관촬영(MRA), 뇌혈관조영술 등이 있으며, 치료 방법은 개두술과 동맥류 결찰술, 코일색전술 등이 있다. 뇌동맥류 수술 중 혈관 조작 과정에서 자칫 뇌경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뇌를 과도하게 견인하면 뇌부종이나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두엽이 손상되면 마비, 언어 장애, 의식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아래 사안은 뇌동맥류 진단에 따라 결찰수술을 한 뒤 뇌출혈, 뇌경색, 수두증이 발생해 결국 뇌손상으로 인한 사지마비가 되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한 사례다. 뇌동맥류 수술 후 부작용 발생 경위 A는 구토.. 2023. 8. 25.
혈전색전증에 의한 경막외출혈 혈종 진단 및 치료 지연 사건의 쟁점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로 인해 혈관이 막히면 혈전색전증이 발생하는데 동맥혈전증의 경우 매우 급한 치료를 요하는 응급상황이 많다. 이번 사건은 폐혈전색전증이 발생해 병원에 입원해 항응고제 투여 치료를 받던 중 경추(목뼈) 경막외 출혈이 발생해 응급수술을 시행했지만 사지마비 상태가 된 사안이다. 사건의 쟁점은 환자에게 통증과 사지마비 증상이 발생한 뒤 피고 병원이 환자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지연한 과실이 있는지 여부다. 사지마비 증상, 손과 다리 저림 증상 호소 원고는 4월 1일 유방절제술 및 근치유방보존술을 받았고, 6월 14일 호흡곤란 증상으로 피고 병원에 입원해 폐혈전색전증 진단을 받고 항응고제 헤파린을 투여하는 치료를 받았다. 원고는 6월 17일 오전 6시 경 양측 어깨와 팔 부.. 2022. 7.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