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갑상선암인 줄 알고 수술했더니 양성종양 갑상선암 증상과 진단방법, 수술 후 갑상샘종 확진 갑상선암의 대표적인 증상은 목에 통증이 있거나, 최근 결절이 갑자기 커졌거나, 목에 불쾌한 압박감이 있거나, 목소리가 갈라지거나, 목, 림프절 쪽에 단단한 멍울이 만져지는 것 등이다. 갑상선암인지 여부에 대한 최종 판단은 수술로 절제한 조직을 병리검사해서 내린다. 수술 이전 갑상선암인지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는 세침 흡인 검사가 비교적 가장 정확하다. 의학계는 세침 흡인 검사에서 ‘악성 종양 의심’으로 진단되면 일반적으로 추적 관찰보다 수술을 권유한다. 아래 사례는 세침 흡인 검사 결과 갑상선 유두암이 의심된다는 진단에 따라 절제수술을 한 뒤 조직검사에서 갑상샘종으로 확진된 사안이다. 갑상선 유두암 수술 경과 K는 D 병원에서 세침 흡인 검사를 받은 .. 2023. 10. 3.
뇌동맥류 수술 후 뇌출혈로 뇌병변 장애 뇌동맥류 수술 의사의 주의의무 뇌동맥류는 뇌혈관 벽의 일부가 늘어나 부풀어 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뇌동맥류 치료 방법은 개두술을 이용한 뇌동맥류 결찰술과 코일을 이용한 뇌동맥류 색전술이 있다. 뇌동맥류 수술을 하는 의료진은 수술 과정에서 뇌출혈이나 뇌경색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의무가 있다. 또 수술 후 환자가 두통 등 이상증상을 호소할 경우 신속하게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를 시행한 뒤 적절한 처치를 해야 할 경과관찰 과정의 의무도 있다. 아울러 의사는 수술을 하기 전 다양한 수술 방법과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부작용 등을 환자, 환자의 법정대리인에게 자세하게 설명해 환자가 수술을 받을지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주의의무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아래 사례는 뇌동맥류 진단에 따.. 2023. 10. 2.
위암 수술 후 복부 통증, 토혈과 의사 과실 판단 위암 수술 후 환자 복통, 토혈 대처 조기 위암 판정에 따라 복강경 위암 절제수술을 하고, 퇴원 전날 혈액검사 결과 염증 수치를 의미하는 C-반응성 단백 수치가 21.69g/dl으로, 참고치인 0.5~1.0을 크게 초과했고, 수술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복부 통증을 호소했다면? 또 수술한 병원에서 퇴원한 후 토혈을 하고, 개복수술을 한 결과 위암 수술 부위 천공과 출혈, 비장동맥 파열 등을 확인했다면 위암 수술 과정, 이후 경과 관찰 과정에서 의료진의 과실이 있었다는 주장을 펴기에 충분하다. 아래 사례는 조기 위암 판정에 따라 위암 절제수술을 한 뒤 퇴원한 이후 복부 통증, 토혈을 해 대학병원에서 검사한 결과 위암 수술 부위 누수 및 누공, 비장동맥 파열 등을 확인하고 응급수술을 했지만 환자가 사망한 사안이.. 2023. 10. 1.
항암치료로 인한 혈소판 감소, 간농양 치료 혈소판 감소, 간농양 치료 과정 의사 잘못 항암치료로 인해 간농양이 발생한 상황이라면 항생제 투약, 배농술 등을 해야 한다. 다만 환자의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고, 혈소판 수치가 크게 떨어져 있다면 간농양 배농 시술을 연기하고, 혈소판 수치를 상승시킨 후 시술에 임해야 한다. 간농양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는 항생제 투여, 경피적 배농술이다. 그러나 혈소판 수치가 낮거나 출혈 등의 합병증 발생 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면, 생명을 다투는 위급한 상황이 아니라면 수혈 등을 통해 출혈성 소견을 교정한 후 간농양 흡입술을 시행하는 것이 권고된다. 아래 사례는 악성 림프종 진단 아래 항암치료를 받던 중 간농양이 발생해 경피적 배농술을 시행한 이후 출혈로 환자가 사망한 사안이다. 항암치료 후 간농양 발생 사건 환자는 .. 2023. 9. 30.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의사 의무와 의료사고 뇌동맥류 코일색전술하는 의사가 지켜야 할 점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는 혈관 벽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것을 말한다. 뇌동맥류의 90%가량은 뇌지주막하 출혈로 발견되고, 7%는 주위 뇌신경이나 뇌 조직을 압박해 증상이나 징후를 유발해서 발견되며, 3%는 아무런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된다. 뇌동맥류 치료방법은 개두술과 혈관 내 코일색전술이 있다. 개두술에 의한 뇌동맥류 결찰술은 두개골을 열어 뇌를 견인하고, 박리해 뇌동맥류를 확인한 다음 작은 클립으로 뇌동맥류를 결찰 하는 방법이다. 혈관 내 코일색전술은 대퇴동맥을 통해 도관을 목 부위 혈관에 위치시킨 다음 도관을 이용해 뇌동맥류 안에 백금코일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코일색전술을 하는 의사는 아래와 같은 주의의무를 충실히 실행해야 한다. 우.. 2023. 9.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