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기자 의료판례3172

무릎 인공관절수술과 환자 사망 인과관계 무릎 인공관절수술 후 사망했다면 따져볼 점 퇴행성 무릎 관절염 진단을 받은 고령의 환자가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받고 며칠 뒤 사망했다면 손해배상 소송으로 비화될 수 있다. 수술한 의료진에게 과실 책임이 있는지를 따지기 위해서는 우선 수술을 하기 전에 심장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심전도 검사,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 관련 과와 협진을 통해 환자를 수술할 경우 위험한지 여부에 대한 의견을 듣고, 수술 과정에서 과실이 있었는지, 수술 이후 환자의 이상 증상이 있었다면 의료진이 이에 적절하게 대처했는지 따져봐야 한다. 아울러 인공관절 수술에 앞서 의료진이 인공관절 수술의 필요성과 방법,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후유증, 부작용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는지도 따져봐야 할 것이다... 2023. 9. 26.
피부 재생 고주파 올리지오 시술 후 흉터, 함몰 피부 재생 올리지오 시술 의사의 책무와 과실 올리지오는 피부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 조직 내 심부열을 발생시켜 콜라겐 재생을 촉진하는 의료기기이다. 올리지오 시술을 하는 의사는 시술로 인해 흉터, 피부 함몰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술 과정에서 주의의무를 다해야 하며, 환자가 시술 후 물집, 통증 등을 호소하면 흉터, 피부 함몰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와 함께 시술을 하기 전 시술로 인해 흉터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해 환자가 자기 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할 의무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래 사례는 얼굴에 올리지오 시술을 받은 뒤 열감과 통증, 물집이 발생해 화상 치료 등을 받았지만 흉터, 피부 함몰 등이 초래된 사안이다. 올리지오 시술 후 부작용 발.. 2023. 9. 25.
심근경색, 협심증 등 심장질환 증상과 의사의 의무 심근경색 증상 있었지만 위장질환 약제만 투여한 의사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 주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 근육에 혈액을 원활하게 공급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병을 의미한다. 임상적으로는 협심증과 심근경색 등으로 나타난다. 협심증은 혈관 벽에 지방질이 쌓여 죽종이 형성되는 혈관질환인 죽상동맥 경화 및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내부 지름이 좁아져 혈류 공급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이다. 심근경색증은 죽상동맥 경화로 협착이 일어나 관상동맥에 갑자기 혈전이 생기고, 이로 인해 심장근육으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어 발생한다. 아래 사례는 가슴 통증, 속 쓰림 등의 증상을 지속적으로 호소하며 병원 응급실을 수차례 내원해 위장약을 투여했지만 심근경색으로 사망한 사안이다. 위장질환 약 투여했지만 심근경색으.. 2023. 9. 23.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중 출혈 발생했다면 아래 사안은 비파열성 뇌동맥류가 관찰되어 병원에서 코일색전술을 하던 중 출혈이 발생해 응급조치를 한 뒤 수술을 마쳤지만 그 뒤 환자가 사망한 사안이다. 코일색전술 직후 환자가 사망했다면 의료과실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이 사건의 쟁점은 코일색전술을 한 의료진이 수술 과정에서 미세도관이나 코일 등을 미숙하게 조작해 출혈을 초래한 것인지, 수술 후 뇌압을 낮추고, 추가 출혈, 뇌부종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처치를 했는지, 수술에 앞서 설명의무를 충실히 이행했는지 여부다.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후 사망 사건 A는 과거 두통과 어지럼증으로 E 병원 신경과에서 후교통동맥 기시부에 팽대 소견이 있어 경과를 관찰해 왔다. 그러던 중 만성적인 어지럼증이 지속되자 다시 E 병원에 내원해 검사를 받았는데 과거 .. 2023. 9. 22.
요추 척수천자 부작용 요추 척수천자와 척추 물혹 연관성 척수천자는 척추의 요추 부위에 바늘을 삽입한 후 척수강 안의 뇌 척수액을 받아 감염성 질환, 출혈, 대사 질환 등을 진단하는 검사로 요추천자라고도 한다. 이번 사건은 뇌수막염, 경막 외 농양 감별을 위해 요추 척수천자를 한 뒤 척추 물혹의 일종인 흉추부 경막 내 낭종이 발생했다는 의료분쟁이다. 흉추부 경막 내 낭종과 같은 척추 물혹이 발생하면 신경근이나 척수를 압박해 흉추 부위 통증과 병병 이하 쪽의 감각 이상, 운동 능력 저하 등의 소견이 나타날 수 있다. 척추 물혹으로 하지 마비 발생 사건 K는 요통, 좌측 다리 방사통 등이 발생해 F 병원에서 요추부(허리등뼈) CT 촬영을 한 결과 제3-4번, 제4-5번 요추 간 척추관 협착증 및 추간판 탈출증(디스크)으로 진단되었.. 2023. 9. 21.
반응형